삼성전자, 유럽식 차세대 모바일 통신시장 … 세계 첫 상용화 뛰어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휴대전화 시장이 2세대(2G)에서 3G로 전환되고 있지만 관련업계는 이미 4G 시장 선점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차세대 4G 휴대전화는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종전과 다른 점이다. 달리는 열차 같은 이동 환경에서는 100Mbps(1초에 1억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 정지된 환경에서는 1Gbps의 데이터 통화 속도를 낼 수 있다. 또 800MB(메가바이트) 크기의 영화 파일을 불과 5.6초 만에 무선으로 내려받을 수 있다.

이런 차세대 이통 기술에는 크게 두 가지 조류가 있는데, 삼성전자는 모바일 와이맥스(와이브로)에 이어 또 하나인 롱텀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에까지 세계 첫 상용화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 회사는 북유럽 최대 통신회사인 텔리아소네라에 LTE 기술로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를 단독 공급하는 계약을 했다고 23일 밝혔다. 와이브로와 LTE는 내년 이후 4G 시장을 양분할 차세대 이통 기술로 꼽힌다. 텔리아소네라는 내년 초 스웨덴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 등지에서 세계 첫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는 통신회사다. 서비스 개시를 앞두고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기 공급업체 등을 선정했는데 삼성이 단말기를 맡게 된 것이다. 삼성이 공급할 단말기는 노트북·넷북 등에 꽂아 쓰는 USB 동글(컴퓨터에 연결하는 소형 통신 단말기) 타입이다. 삼성전자의 신종균 부사장은 “와이브로뿐 아니라 LTE 기술력까지 인정받아 4G 서비스의 첫 상용화에 동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심재우 기자

◆4G 이동통신 기술=유럽·일본은 LTE를, 한국은 와이브로라는 기술 방식을 주도해 왔다. 아날로그 방식의 휴대전화가 1세대라면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CDMA)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휴대전화는 2세대다. 이보다 데이터 통화 속도를 높인 게 010으로 번호 이동한 3세대고, 4세대는 이보다 훨씬 빠르다.

2세대가 800㎒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 데 비해 4세대는 2.3㎓ 대역을 사용한다.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유리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