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위 국감] 중앙일보 무가지 조사 싸고 언론탄압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 8일 정무위 감사에서는 중앙일보에 대한 공정위의 무가지(無價紙)조사문제를 둘러싸고 언론탄압 시비가 일었다.

한나라당 김영선(金映宣).이사철(李思哲)의원 등은 "7일 오전 공정위 경쟁국 경쟁촉진과 직원 5명이 중앙일보 8개 지국에 갑자기 들이닥쳐 조사를 했다" 며 "현 정권과 중앙일보가 대립관계에 있는 때에 이렇게 지국을 뒤진 것은 언론탄압 의도가 아니냐" 고 추궁했다.

金의원은 "독립성.엄정성.전문성이 보장돼야 할 검찰과 국세청.공정위가 편을 짜서 중앙일보를 뒤지고 있다" 며 "누구의 지시를 받고 조사했느냐" 고 캐물었다.

전윤철(田允喆)위원장은 "무가지 경쟁과 관련해 공정위가 상시적으로 (조사)해오고 있다" 고 답변. 그러자 金의원은 "국세청은 세무조사하고, 검찰은 사장을 잡아가고, 공정위는 지국을 뒤지는 것이 짜고 하는 게 아니고 뭐냐" 고 질타.

추궁이 계속되자 田위원장은 "동아일보 분당 지국장이 신고해 조사에 들어간 것" 이라고 해명.

이에 한나라당 의원들은 "중앙일보 때리기 위해 나간 것이고, 이게 바로 정치탄압 아니냐" 고 몰아쳤다.

김중위(金重緯)위원장과 김도언(金道彦)의원도 "분당에서 신고했는데 왜 강남지역에 조사가느냐" 고 추궁. 이에 오성환(吳晟煥)경쟁국장은 "신문에 보도되는 등 워낙 이슈화된 문제기 때문에 현지조사를 나갔다" 고 답변.

그러자 채영석(蔡映錫)의원 등 국민회의 의원들이 "집권당이 문제를 제기하면 관심을 가져야 한다" 고 공정위측을 두둔하고 나서면서 여야 의원간에 고성과 설전이 오갔다. 이에 金위원장이 서둘러 정회를 선포. 속개된 회의에서 이사철 의원이 신고의 근거자료를 요구하자 공정위측에서 팩스를 제시했는데 수신일자가 '96년 10월 11일' 로 돼있어 한바탕 확인소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