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1월·설에 이산 상봉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부는 16일 개성에서 열릴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다음 달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금강산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할 계획이다. 또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상설 가동하는 문제도 북한 측에 제의키로 방침을 세웠다.

14일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남측은 일단 11월 이산상봉을 성사시킨 뒤 이어 내년 설 명절에도 추가적으로 상봉 행사를 개최한다는 복안을 마련했다. 지난 1일 끝난 금강산 상봉 행사에 잇달아 이산상봉을 진행함으로써 상봉 정례화의 토대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처럼 남북 각 100명이 만나는 기존 방식으로는 8만 명에 이르는 남측 이산 상봉 신청자의 한을 풀어주는 데 문제가 있다”며 “상봉 확대와 정례화가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8월 말 적십자 회담에서 거론한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3대 원칙을 이행하는 문제도 북한 측에 촉구할 예정이다. 이산가족 관련 3대 원칙은 ▶정치적 사안과 무관하게 인도적으로 사업 추진 ▶전면적 생사 확인과 상시 상봉, 영상 편지 교환, 고향방문 등 근본적 문제 해결 ▶납북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위한 상호 협력이다.

정부는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상설화해 상봉 행사는 물론 정례적인 가족 만남 등을 가능하게 하는 문제도 북한과 협의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이산가족면회소는 지난해 7월 완공됐으나 남북 관계 경색으로 문을 열지 못하다가 지난달 26일 이산상봉 행사 때 단체상봉장으로 처음 쓰였다.

한적 관계자는 대북 식량 지원 문제와 관련, “대규모 지원은 정부가 결정할 사안” 이라고 말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