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채권단회의] 대우 워크아웃 차질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투신사의 반발로 대우 워크아웃 (기업개선작업) 의 신속처리 방침이 흔들리고 있다.

신용장 개설 등 무역금융을 우선 지원해 ㈜대우 등 무역업체의 자금 숨통을 터주려던 정부.채권단의 의도가 저지당하자 대우 계열사들은 크게 실망하는 분위기다.

채권단 내부에서도 투신사들이 시장 전체보다 자신들의 입장만 내세워 일을 꼬이게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채권단간 반목이 심각하다.

투신사들은 지난 7월 대우가 제공한 10조원의 담보를 잡고 자신들이 우선 지원한 4조원의 기업어음 (CP)에 대한 이자지급 문제를 현안으로 들고 나왔다.

투신사들은 이 CP가 대부분 비 (非) 대우부분 수익증권에 포함돼 있어 고객이 환매할 때 당연히 이자를 지급해야 하므로 보증 회사채처럼 정부나 채권단이 지급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CP를 발행한 대우 계열사들이 이자를 내야 하는데 워크아웃에 따른 채무유예로 이자를 못받게 됐기 때문이다.

이자를 못받을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고객들이 볼 수밖에 없고, 이는

정부가 사실상 지급을 보장하기로 한 대우채권 편입 수익증권 환매조치의 기본취지에도 어긋난다는 것. 채권단은 보증 회사채도 아닌 담보채권의 이자지급은 채권단 협의대상이 아니므로 나중에 논의하고 우선 급한 대우 지원책을 통과시키자고 투신권을 설득했다.

그러나 끝내 투신권이 CP대책 마련을 요구해 대우 자금지원 방안마저 부결됐다.

채권단 관계자는 "여신액 비중에 따라 의결권이 주어지는데 33%의 여신을 갖고 있는 투신권이 계속 거부하면 워크아웃에 차질이 우려된다" 고 말했다.

대우 구조조정본부 관계자는 "지원대상에서 빠진 주력업체가 그룹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95%" 라며 "이들 업체에 대해 무역금융 및 어음할인이 안되면 다음주부터 도산하는 계열사와 협력사도 생길 수 있다" 고 지적했다.

표재용.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