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적고 순익 많은 '알짜' 기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외국인들은 순이익이 많고 부채가 적은 우량 상장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거래소는 23일 금융업.관리종목을 제외한 498개사(12월 결산법인)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 19일 현재 외국인 지분율이 50% 이상인 기업은 22개사에 불과했지만 이들 기업의 순이익은 전체의 45.1%인 11조701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반면 대상 기업의 69%(345개)를 차지하는 외국인 지분율 10% 미만인 상장사의 순이익은 3조2978억원으로 전체의 12.7%에 불과했다.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외국인 지분율 50% 이상인 기업이 27.7%였으나, 전체의 3분의 2를 넘는 외국인 지분율 10% 미만 기업은 21%로 오히려 낮았다.

외국인 지분율이 50% 이상인 상장사들은 부채비율이 59.4%로 전체 평균에 비해 37.6%포인트 낮았다. 자본총액에서 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인 자기자본이익률은 14.7%로 전체 평균보다 5.4%포인트 높았다.

외국인 지분율이 50%가 넘는 22개 상장사에는 에스원(60.57%).제일기획(58.58%).삼성전자(58.38%).포스코(70.2%).SK(60.7%).현대자동차(55.9%).신세계(53.7%).LG필립스LCD(52.8%) 등 국내 주요 기업이 포함돼 있었다. 외국인은 올 들어 SK 지분을 16.9%포인트 늘렸으며 신세계와 현대차의 비중을 각각 4.9%포인트, 4.5%포인트 늘렸다.

메릴린치증권의 이원기 전무는 "최근 6개월 동안 전 세계 증시 중 외국인이 순매수한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며 "상당수 외국인은 국내 우량주를 산 뒤 장기 보유해 높은 수익을 내는 전략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