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제주 … 20개국 정상 어디로 부를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G20 정상회의는 한국이 개최한 역대 국제회의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 회의다.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나라 20개국의 정상이 사상 처음으로 한반도에 집결하게 된다. 20개 회원국 이외에도 특별히 초청을 받는 몇몇 국가 정상과 유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 대표들도 대거 참석하게 된다.

한국이 개최한 다자 정상회의로는 2000년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6개국 참석)와 2005년의 부산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21개국 참석)가 있었으나 참가 범위가 지역적으로 한정된 회의였다. 최근에는 올 6월 제주도에서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를 개최한 적이 있지만 행사의 성격이나 규모가 G20에 비견될 성질의 모임은 아니었다.

정부는 G20 개최가 공식 확정됨에 따라 조만간 준비기획단을 발족시킬 예정이다. 외교통상부와 기획재정부는 물론 정부 관련 부처를 망라한 범정부 차원의 조직이 될 전망이다. 전례에 따르면 기획단장은 외교통상부 장관이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단은 행사 준비를 맡고, 의제 등 회의 내용에 대한 준비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 등이 담당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통상부는 개최가 확정되기 이전부터 전담 요원을 배치하고 사전 검토와 조사를 해 왔다.

정부 관계자는 G20 회의에 1만 명이 훨씬 넘는 인원이 참석할 것으로 내다봤다. 각국의 공식 대표단과 수행원·경호원에 취재진 등을 합한 숫자다. 런던에서 열린 3차 회의에는 각국 취재진만 3000명 가까이 참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동남아 10개국 정상이 참가한 제주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때 정식 등록을 한 참가인원이 6800여 명이었는데 G20은 이보다 훨씬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00년 ASEM 때에는 등록 참가인원이 4700여 명이었다. 2005년 APEC에는 정부대표단 3674명과 취재진 3569명이 부산에 왔다. 회의 기간은 전례대로 1박2일이 유력하다.

가장 큰 관심사는 개최 도시를 정하는 일이다. 정부 관계자는 “행사장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아무 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내년 11월까지 남은 시간을 고려하면 새로이 회의장을 짓는 것보다 이미 만들어져 있거나 조만간 완공될 행사장을 활용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개최 도시로는 다자정상회의장 개최 경험이 있는 서울· 부산·제주와 대형 컨벤션센터를 갖춘 인천·경주 등 몇몇 도시로 압축된다. 회의장과 숙박 시설 등 여건을 갖춘 도시들 간의 유치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 가운데 진작부터 송도 국제도시에서 개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온 인천시가 가장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APEC이나 한·아세안 정상회담 때에는 이에 맞춰 새로이 컨벤션센터를 지어 회담장으로 활용했다.

예영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