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상장 건립취소등 서울시 졸속행정 잇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서울시가 19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효용성도 제대로 검증받지 않은 매연여과장치를 청소차에 설치했으나 국회.시민단체 등의 반대에 부딪히자 뒤늦게 여과장치설치제도를 폐지해 거액의 예산만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주먹구구식으로 실내빙상장 건립을 추진하다 국민고충처리위원회로부터 '사업취소' 권고를 받고 설계까지 마친 빙상장 건립을 백지화하는 등 졸속행정을 펴 비난을 받고 있다.

◇ 매연여과장치 설치 폐지 = 서울시는 지난 97년 7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경유 사용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에 대해 환경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매연여과장치를 부착키로 하고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이에따라 시는 시범적으로 지난 97년 한해동안 19억의 시.구 예산을 들여 서울시내 25개 구청 청소차량 1천4백대에 개당 2백50만~3백50만원의 매연여과장치를 설치했다.

이 과정서 시는 시민단체인 '교통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으로부터 "선진국서 개발하다 포기한 실효성 없는 장치" 라는 거듭된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97년 10월 "매연여과장치가 매연만 제거하고 오존오염 및 도시 스모그의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없어 설치할 필요가 없다" 고 지적하자 뒤늦게 13일 매연여과장치 관련조례를 폐지했다.

◇ 빙상장 건립 취소 = 시는 쇼트트랙이 붐을 일으키던 지난 94년 이후 즉흥적으로 부지를 세차례나 변경하며 실내빙상장 건립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지난 10일 "빙상장이 들어설 뚝섬지구 전체에 대한 토지 이용계획이 확정되지 않았고 재정도 충분치 못해 이 계획을 취소한다" 며 이를 백지화 시켰다.

시는 이미 문화부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16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 받았으며 용역업체에 2억4천1백만원의 설계비까지 지불해 예산만 날리게 됐다.

문경란.성시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