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銀 이달중 3조 수혈…자본금 감축 불가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금융감독위원회는 13일 제일은행의 해외매각 추진과는 별도로 우선 이달말까지 3조원 이상의 공적 자금을 투입해 국제결제은행 (BIS) 자기자본 비율을 10%대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제일은행에 추가로 3조원이 투입되면 지난해 1조5천억원 출자와 성업공사 부실채권 매입액 2조1천억원을 포함, 정부 지원액은 6조6천억원에 달하게 된다.

금감위는 또 공적 자금 지원이 이뤄짐에 따라 제일은행은 대폭적인 자본금 감축 (減資) 이 불가피하며 현재 6만여명에 이르는 소액주주 주식은 감자후 전량 유상소각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금감위 남상덕 (南相德) 제2심의관은 "현재 제일은행은 부실이 심화돼 2만여 거래기업의 신규여신이 중단되는 등 부작용이 커 마냥 해외매각 협상에만 매달릴 수 없다" 며 "우선 경영정상화를 시킨 뒤 해외매각을 계속 추진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南심의관은 또 "협상 시한은 넘겼지만 뉴브리지캐피털이 지난해 체결한 양해각서 (MOU) 와는 완전히 다른 인수조건을 제시해와 이의 수용여부를 검토중" 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뉴브리지측의 새 조건은 기존 안에 비해 정부 부담이 크게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협상타결은 여전히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 공적 자금 우선지원 왜 하나 = 제일은행이 은행 구실을 못할 만큼 부실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제일은행의 납입자본금은 1조6천억원이지만 자기자본은 현재 약 2조원이 마이너스다.

이에 따라 2만여 거래기업이 운영자금을 구하지 못해 대량부도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 매각협상 새국면 = 공적 자금 우선지원에 따라 정부는 더이상 매각시한에 쫓기지 않게 됐다. 해외매각 방침은 국제통화기금 (IMF) 등과의 약속인 만큼 지키겠지만 파트너.매각조건 선택 등에 한결 여유가 생겼다는 뜻이다. 이는 뉴브리지에 대해 일종의 압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때문에 양측이 조만간 접점을 찾아 협상을 전격 타결지을 가능성도 있다.

물론 정부는 뉴브리지와의 협상이 결렬되거나 새 투자자가 나설 경우 언제라도 협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정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