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학교 구강보건 실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우리 정부가 국민 구강보건을 위해 올해 쓸 돈은 모두 17억원. 스웨덴의 전체 보건예산 중 구강보건이 차지하는 비중은 5.7%.그러나 우리 나라는 0.1%에 불과하다.

그나마 중앙정부예산으로 책정된 것은 5천만원이 고작이다.

보건복지부 내에 구강보건과가 생긴 것도 겨우 1년 남짓. 이마저 정부조직의 축소방침에 따라 존폐위기에 놓여있다.

각종 구강보건사업의 법적 근거가 되는 구강보건법은 아직 국회에 계류중인 형편. 국가 주도하에 시행 중인 어린이 구강사업은 84년부터 시작한 초등학교 불소용액양치사업. 불소용액으로 매일 혹은 1~2주에 한차례씩 어린이들의 구강을 세척해주는 것이다.

현재 전국 5천여 초등학교에서 1백40만여명의 어린이에게 실시 중이다.

그러나 수도시설 등 여건이 열악한 초등학교에선 참여율이 낮아 실제 불소용액양치사업으로 충치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어린이는 절반도 되지 않는다.

선진국에선 이미 보편화돼 있는 불소도포와 실란트 치료는 전무한 실정. 복지부는 올해 처음으로 전국 15개 초등학교에서 학교구강보건실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구강보건과 서현석 (徐顯錫) 연구관은 "기존 양호실 외에 별도로 학교구강보건실을 두고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란트 등 예방치료를 무료로 시술해줄 방침" 이라고 밝혔다.

어금니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는 6세 무렵 실시하는 실란트는 현재 비보험인 탓에 개원가에서는 한 개당 2~3만원씩 받고 있어 10만원 안팎의 비용이 든다.

결국 시범학교 외에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학부모가 자비부담을 해야 하는 셈.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신동근 (申東根) 집행위원장은 "학교구강보건실의 전국 확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의료보험 혜택이라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고 주장했다.

홍혜걸 기자.의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