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의회도 지상군투입에 의견 분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2주간 휴회했던 미국 의회가 12일 재개되면서 코소보에 대한 지상군 투입 여부를 둘러싸고 격론이 벌어질 전망이다.

미국 여론이 지상군 투입을 지지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는 가운데 열리는 이번 토론은 상.하 양원과 공화.민주 양당간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여론이 강경론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유고 공습에 대한 '민주 = 지지, 공화 = 비판' 의 도식이 점차 희석되고 있다.

특히 공화당내 의견분열은 심각하다.

대부분의 공화당 의원들이 사태를 관망하며 침묵을 지키는 가운데 보수파와 강경파의 의견대립이 첨예하게 전개되고 있다.

베트남전 전쟁포로 출신으로 공화당내 대선주자인 존 매케인 상원의원은 리처드 루거 상원의원 등과 함께 지상군 투입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휴회기간 중 나토본부를 방문한 매케인 의원은 "이미 미국이 코소보 사태에

깊숙이 개입한 만큼 전쟁에 이기기 위해 지상군 투입.밀로셰비치 축출 등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반면 톰 딜레이.딕 아미 의원 등은 "코소보 사태에 미국의 이해관계가 걸려 있지 않다" 면서 지상군 투입을 반대하고 있다.

특히 딜레이 의원은 "나토군이 점차 권력에 굶주린 제국군대로 변하고 있다" 며 강력히 비난했다.

공습 초기에 일사불란하게 클린턴 대통령의 결정에 지지를 보냈던 민주당도 의견이 엇갈리기는 마찬가지다.

상당수 민주당 의원이 클린턴 대통령처럼 지상군 투입에 회의적인 가운데 조지프 리버먼 상원의원 등 일부는 코소보해방군 (KLA) 무장을 촉구하는 등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지상군 투입에 회의적인 클린턴 대통령은 앞으로 코소보 사태와 관련, 어떤 결정을 내리든 의회의 지지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에 섰다.

3주째 계속되는 유고 공습을 위한 추가비용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의회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주목된다.

정현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