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저소득층 주거안정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대전시는 저소득층과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2015년까지 임대주택 6000가구를 공급하고 노후주택 4500가구 수리, 임대료 지원 등 주택금융 사업비 4725억원을 지원한다. 또 주택신축과 수리시 장기저리로 최고 1억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시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거복지 종합대책을 7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1단계(2010∼2012년), 2단계(2013∼2015년)로 나눠 추진된다.

1단계로 임대주택 588가구를 공급하고 다가구주택 2968구를 매입해 전세 또는 임대 해주는 등 3556가구를 공급한다. 2단계는 임대주택 340가구 공급과 함께 전세임대 2104가구 등 2444가구를 공급한다.

저소득 취약계층의 기존 노후불량주택 4500가구를 대상으로 도배·전기 등 무지개 집수리사업에 71억원이 지원된다. 무지개 집수리사업은 가구당 200만원 범위내에서 지원되며 건축사협회, 감리협회, 전문건설협회, 자원봉사단체 등과 함께 추진한다.

또 10억원을 투입, 최저계층·차상위계층 등에게 영구임대아파트를 기준으로 월임대료 3만원 정도를 보전해 준다.

이밖에 저소득층과 철거민에게 주택신축과 수리비용으로 가구당 1억원 정도를 장기저리로 대출해 준다. 이 대출금의 이자는 연 2∼3%이며 상환기간은 15∼20년이다.

주거복지 종합대책이 완료되면 현재 영구임대아파트 대기자 4564명 중 66%인 3028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임대난이 조기에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도심 슬럼가가 무지개 집수리사업으로 쾌적한 주거공간이 조성되며, 순환형 임대주택 활성화로 원주민들의 재정착율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박성효 대전시장은 “신규 주택을 공급하는 것도 서민들의 주거안정에 기여하지만 기존의 노후주택을 수리해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무지개 집수리사업도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에 투입되는 사업비는 국비 2020(43%)억원, 시비 684(14%)억원, 주택기금과 입주자부담 2012(43%)억원으로 충당한다.

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