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이회창총재 17일 회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가파른 대치상태를 계속해왔던 여야가 정국 해빙을 향한 돌파구를 찾았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총재는 17일 청와대에서 조찬을 겸한 단독회담을 갖고 정국 정상화 방안에 대해 폭넓은 의견을 나눈다.

金대통령은 이어 18일 오전 박태준 (朴泰俊) 자민련 총재와 회동을 갖고 총재회담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다.

국민회의 정균환 (鄭均桓).한나라당 신경식 (辛卿植) 사무총장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만나 '17일 총재회담' 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김정길 (金正吉) 청와대 정무수석은 16일 李총재와 朴총재를 당사로 각각 방문, 金대통령의 뜻을 전달한다.

양당 총장은 "총재회담에선 정국안정.경제회생.안보외교 강화 등 제반 현안에 관해 광범위한 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이며 여야간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될 것" 이라고 밝혔다.

鄭총장은 "여야가 경제.실업문제 등 국민적 관심사와 정치권 현안 등 모든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푸는 계기가 될 것" 이라고 설명했다.

辛총장은 "지금까지 야당은 표적사정과 '국회 529호실 사건' 등으로 곤욕을 치러왔는데 총재회담을 계기로 이같은 정치풍토가 없어지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양당 총장은 그러나 "서상목 (徐相穆) 의원 체포동의안과 '이부영 (李富榮) 의원의 金대통령 비판' 관련 논란은 이번 총재회담과 별개 문제며 논의되지 않을 것" 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여야는 총재회담에서 선거법 개정을 포함한 정치개혁 입법을 상반기 중 마무리짓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하고 경제회생과 민생안정을 위한 초당적 협력을 다짐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 11월 총재회담에서 합의했던 '경제회생을 위한 초당적 협의기구' 의 활성화를 비롯, 초당적 실업대책기구 구성, 남북관계와 한.일 어업협정 등 외교문제에 대한 초당적 협력문제 등도 심도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金대통령은 여야 정당의 전국정당화를 위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야당측의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며, 李총재는 '야당 파괴와 정계개편 포기' 를 약속해줄 것을 요구하고 국정 혼선의 근본원인인 내각제 개헌 논의의 조기 정리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李총재는 또 검찰.국가정보원 등 권력기관의 중립성 보장, 수도권 재.보선의 공정한 관리 등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