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재회담 본격 모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 8일 김정길 (金正吉) 청와대 정무수석을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 총재에게 보내 총재회담을 갖자는 뜻을 전달하면서 대화정국 복원을 위한 여야간 다각적인 접촉이 본격화하고 있다.

李총재와 金수석의 8일 만남에서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으나 대화를 위한 기초 논의는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金수석은 "인위적인 정계개편은 물론 야당의원 빼가기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金대통령의 확고한 의지" 라며 여야 총재회담을 제의했으나, 李총재는 "그 정도 수준으로는 곤란하다.

동서화합.지역연합 차원의 정계개편을 포기하겠다는 여권 내의 확고한 결정을 한 뒤 확실한 방법으로 국민 앞에 밝혀야 한다" 며 부정적인 대답을 했다고 안택수 (安澤秀) 대변인이 전했다.

이와 관련, 李총재의 한 측근은 "그렇다고 총재회담을 거부한 것은 아니다" 며 "신뢰회복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미" 라고 설명했다.

그는 "李총재가 '정치에는 신의가 가장 중요하다' 고 한 말은 야당의 대선자금 관련 수사 등과 관련해 여권이 성의를 보임으로써 '야당 죽이기' 의지가 없다는 것을 가시화해야 한다는 뜻" 이라고 해석, 여권의 태도에 따라 총재회담이 급진전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박지원 청와대 대변인도 여야 총재회담과 관련, "당에서 준비해 건의하면 시기는 언제든 가능하다" 면서 "그러나 총재회담은 (사전에) 여야간 충분한 대화를 거친 뒤 두 총재가 만나 국민과 국가발전을 위해 어떤 합의를 이뤄야 하는 것이므로 당에서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시기가 달려 있다" 고 덧붙였다.

정균환 (鄭均桓) 국민회의 사무총장은 "모든 협상라인을 가동해 대화를 추진할 것" 이라며 한나라당 서상목 (徐相穆)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은 박상천 (朴相千) 법무부장관 해임건의안등과 동시에 표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여권이 대화를 제의해옴에 따라 당분간 장외집회를 중단하고, 원내 활동과 대화에 주력한다는 방침이어서 총재회담을 위한 돌파구가 열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김진국.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