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복제실험 논란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경희의료원 불임클리닉 이보연 (李普淵) 교수팀이 난자에 체세포 핵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인간복제 실험에 성공한 것과 관련 (본지 12월 15일자 1면) , 사회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참여연대 등 9개 환경.사회단체로 구성된 '생명안전윤리연대모임' 은 15일 오후 경희대에서 '인간 배아 (胚芽) 복제 규탄집회' 를 갖고 "반인륜적 복제실험을 즉각 중단하라" 고 주장했다.

연대모임 박병상 (朴炳相) 사무국장은 "의료인이 지적 호기심에 이끌려 인류를 파멸로 이끌 수 있는 인간 복제실험을 했다" 며 "복제양 돌리 탄생 이후 일부 국가도 인간복제 기술력을 갖췄지만 윤리적 비난을 감안해 실험을 하지 않고 있다" 고 지적했다.

그러나 의료계 일각에서는 "생명공학 기술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계속 연구돼야 한다" 는 긍정론을 펼치고 있다.

또 장기 (臟器) 이식 환자의 경우 자신의 체세포로 필요한 장기를 선택적으로 배양한 후 수술을 받을 수 있어 의료분야에서의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이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 장영달 (張永達.국민회의).이상희 (李祥羲.

한나라당) 의원이 97, 98년에 각각 발의한 '생명공학육성법개정안' 에는 ^인간의 생식세포.체세포를 이용한 복제 실험^인간.동물의 수정란이나 태아를 상호 이식하는 실험^인간의 태아나 사망자로부터 정자.난자를 추출해 수정란을 만드는 실험 등을 연구금지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같은 개정안은 현재 국회 법안심사소위에 계류중이며, 내년 상반기께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어서 인간복제 실험을 둘러싼 논란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양영유.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