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회담 막판 진통…여야 '결렬 위기'속 절충 계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9일로 예정됐던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 총재의 오찬회담은 협상 막판에 한나라당이 '표적사정과 인위적 정계개편 중지' 등 3개항을 합의문에 명시할 것을 요구하고, 국민회의측이 이를 거부함으로써 성사 직전 결렬됐다.

국민회의 한화갑 (韓和甲) 총무와 한나라당 박희태 (朴熺太) 총무는 이에 따라 金대통령의 중국 방문 전날인 10일중 갖도록 한다는 전제 아래 9일 밤 늦게까지 절충을 계속했다.

이와 관련, 박지원 (朴智元) 청와대 대변인은 "金대통령 방중 (訪中) 준비 등 일정상 어렵다" 면서도 "당의 건의를 기다리는 중" 이라는 말로 10일중 개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여야간 협의가 10일 오전까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총재회담은 金대통령 방중에 이은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의 한국 방문 등 이달말까지 계속될 金대통령의 외교일정 때문에 상당기간 미뤄지게 된다.

이에 앞서 양당 총무는 9일 오전 여권이 요구한 경제청문회를 예산심의가 끝난 뒤인 다음달 3일 이후 정기국회 회기내에 열기로 잠정 합의했다.

한나라당측이 총재회담 합의문 작성과정에서 추가로 요구한 3개항은 ▶판문점 총격요청 사건에 대해 검찰수사가 공정하게 진행되는지를 지켜보며 강압수사로 인한 왜곡이 있어선 안되고▶보복.표적 사정 (司正) 과 인위적인 정계개편이 더이상 있어선 안되며▶불법 감청과 고문에 대한 관련법을 조속히 개정하고, 이를 통한 인권유린행위를 근절한다는 것.

이는 8일 밤 李총재의 지시에 따라 이뤄졌다. 그러나 여권은 金대통령과의 회담 중 李총재가 이를 거론하는 것은 무방하지만 발표문에 명문화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오전 11시쯤 국민회의 박홍엽 (朴洪燁) 부대변인을 통해 회담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앞서 金대통령은 9일 박태준 (朴泰俊) 자민련 총재와 조찬회동을 갖고 경제위기 원인규명을 위한 경제청문회를 정기국회 회기내에 연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