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총격요청·불법감청의혹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6일 국가안전기획부와 대검찰청을 상대로 한 국회 정보위와 법사위의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판문점 총격요청 사건' 진상규명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두 위원회에서 여당 의원들은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 총재를 겨냥, 배후조사를 촉구했고 야당 의원들은 고문조작을 강조했다.

정보위에서 야당 의원들은 이종찬 (李鍾贊) 안기부장의 사퇴까지 요구하며 공세를 폈으나 李부장은 이를 거부했다.

한편 두 위원회에서 야당 의원들은 총격요청 사건 수사과정의 불법 감청 문제를 제기했지만 李부장과 김태정 (金泰政) 검찰총장은 불법 감청이나 도청은 없었다고 밝혔다.

◇ 안기부 국감 = 한나라당 홍준표 (洪準杓).양정규 (梁正圭).박관용 (朴寬用) 의원 등은 총풍사건과 관련해 고문 조작.불법 감청 의혹이 있다고 李부장을 비난했다.

洪의원은 특히 이번 사건이 단순한 무력시위 요청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안기부가 과대 포장해 대통령에게 잘못 보고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며 李부장의 사퇴용의를 물었다.

이에 국민회의 임복진 (林福鎭) 이성호 (李聖浩) 의원 등은 국기문란 사건인 만큼 철저한 수사를 통해 배후를 규명해야 한다며 한나라당과 이회창총재의 정치 도의적 책임론을 집중 제기했다.

이에 대해 李안기부장은 "안기부의 수사과정에서 고문은 절대 있을 수 없으며 안기부장의 답변을 믿어달라" 고 당부하고 "법원에 영장을 청구해 시행한 감청이외에 불법 감청이나 도청은 절대 없었다" 고 강조했다.

◇ 대검 국감 = 청와대 특명 사정반이 지난해 8월 다대포.만덕 특혜의혹 사건을 은밀히 내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나라당 홍준표의원은 "지난해 8월 청와대 특명 사정반이 다대포.만덕 특혜의혹과 관련, 부산 모 호텔에서 동방주택 이영복 (李永福) 사장을 6시간동안 조사했다는 첩보가 입수됐다" 고 주장했다.

한편 국민회의 이기문 (李基文) 의원은 "판문점 총격요청사건으로 구속된 한성기씨가 지난해 중국 베이징 (北京)에 갈 당시 신한국당 이회창총재 특별 보좌역이란 명함외에도 李총재의 이력서 3장과 청와대 비서실 직제표 및 청와대 전화번호 (A4용지 46장 분량) , 李총재와 수행비서의 자택.휴대전화 번호 등을 북한측 인사에 건네준 의혹이 있다" 고 주장했다.

전영기.정철근.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