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극장 가위질 너무 심하다…시청자 항의 쏟아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7면

90년대 들어 전염병처럼 번진 영화에 대한 관심. 일상적으로 영화를 '논 (論)' 하는 것이 어색하지 않게 됐다.

복잡다단해진 젊은 시청자들의 입맛에 TV에서 방영하는 외화도 자유로울 수 없다.

매주 '토요명화' '주말의 명화' 가 끝나고 나면 방송사로 날아드는 숱한 항의, 항의. 방송사의 변명과 반론도 만만찮다.

◇ TV 영화에 왜 가위를 대나 = 8월12일 방영된 '20세기 레미제라블' (KBS1) 은 2시간57분짜리가 2시간10분으로 변신했다.

지난달 11일 방영된 '말콤 엑스' (KBS1) 는 3시간20분에서 40여 분을 잘렸다.

가위질의 이유는 편성 시간 때문이다.

보통 외화에 할당된 시간은 1백20~40분. 대개 주말영화는 밤11시가 넘어 시작되고 1시를 넘기면 문화관광부에 방송시간 연장신청을 해야 한다.

"연장을 해도 2시가 넘으면 곤란하다" 는 게 방송사 관계자의 설명. 따라서 3시간이 넘는 '대작' 은 설 땅이 없다.

명화를 튼다고 요란하게 선전은 하지만 정작 작품을 훼손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은 곤란하다는 지적이 많다.

◇ 더빙은 싫다 = 성우들의 연기가 어색해 원작의 맛을 떨어뜨린다는 건 해묵은 불만. 여기에 외국어 학습 열기가 높아지면서 "자막을 넣어달라" 는 요구가 부쩍 늘고 있다.

방송사 입장은 확고하다.

"TV 외화 시청층은 젊은 층에서 노년층까지 다양하다. 영화 이해도 측면에서 더빙이 단연 자막을 앞선다. 원어를 즐기면서 자막까지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겠는가. " MBC 안광한 영화부장의 지적이다.

"자막은 글자 수 제한 때문에 대사의 전부를 소화할 수 없다" 는 의견도 설득력이 있다. '사운드 오브 뮤직' 등 뮤지컬은 예외다. "원작의 분위기를 살리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 한 작품도 가끔 자막처리한다. 방송사들이 선호하는 평균 15%대 시청률이 보장되는 '가족극장' 엔 당연히 더빙이 선택된다.

◇ '레터박스' 로 방영해달라 = 흔히 '시네마스코프' 라 부르는 극장 화면 비율을 안방극장에서 살려 달라는 건의다.

외국 위성방송에선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외화 수입할 때 레터박스로 출시된 LD를 사와 틀면 된다.

하지만 역시 방송사 입장은 부정적. KBS영상사업단 영화제작부 이영주 팀장은 "29인치 이하 TV에선 오히려 화면의 검은 부분이 시각적으로 불편할 수 있다" 고 말한다.

와이드TV가 보급되기 전까진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기선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