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청 담당직원 4명 발로뛴 지하수 보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종로구청 지하수계. 이곳에 걸려있는 대형 방치 폐공 표본 조사도에는 관내 5백90여곳의 폐공 위치와 관리실태.복원 현황이 빼곡이 들어차 있다.

지난 1년간 4명의 지하수계 공무원들이 발이 부르트며 찾아낸 기념비 (?) 적인 업적도다.

4년째 지하수계를 맡아온 김창현 계장은 "20~30년간 방치된 폐공은 건축과 도로 증.개축으로 지적도에서 사라져버려 폐공 하나 발견하는 것이 마치 보물찾기처럼 어렵다" 고 호소한다.

문제는 그나마 어렵사리 찾은 폐공의 처리.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다 건물주가 바뀌어 시정명령을 해도 듣지 않아 30여개만 행정조치를 통해 되메웠다.

서울시에 의해 '지하수관리 모범 지자체' 로 꼽힌 종로구청은 기초자치단체로는 처음 96년부터 매년 관내 지하수의 오염실태와 사용 현황을 망라한 지하수 연보를 제작하고 있다.

이 연보는 발간되자마자 지하수 교과서로 통해 다른 지자체에서 비슷한 연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종로구청은 95년부터 2010년까지 지하수를 자원화하는 장기계획도 만들어 시행중이다.

우선 2000년까지 방치 폐공을 찾아 복구, 오염원을 차단하고 2005년까지 관측정을 설치, 수질.수량을 컴퓨터로 관리하고 수맥도를 작성키로 했다.

2006년부터는 이같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하수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 개발업자에게 유료 판매하고 이를 재원으로 동별로 공공 관정을 개발하는 등 비상시 물부족에 대비키로 계획하고 있다.

또 구청이 직접 지하수를 개발.판매하는 수자원화 대책까지 세워놓았다.

문제는 재원. 종로구청의 지하수 관련 연간 예산은 서울시에서 지원한 관측망 구축비 2천7백만원과 연보제작비 3백만원 등 3천5백여만원이 전부. 인력도 지하수계 4명 등 다른 지자체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한직중에 한직' 이라고 할 수 있는 자리인데도 관련 공무원의 의지가 이런 성과를 낳은 것. 정흥진 구청장은 "현재 지하수 3백t 이상 사용자는 지역개발세로 t당 10원, 환경개선부담금으로 t당 1백~2백원을 징수하고 있지만 지하수 관리에 쓰이지 않고 있다" 고 지적하고 "지하수 관리는 종로구청뿐 아니라 시.도 및 정부가 나서 재원을 마련, 오염방지와 보존에 대비해야 한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