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째 방치 예술인회관 공사 재개 못하면 국고 환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5년째 공사가 중단 중인 서울 목동 예술인회관이 과연 완공될 수 있을까. 아니, 완공은 둘째치고 공사가 재개될 수 있을까. 예술인회관을 둘러싸고 공사 주체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예총)와 관리 당국인 문화관광부, 그리고 시민단체 간의 의견이 맞서고 있다.

문화부는 4일 예총에 예술인회관 건립에 관한 최종 입장을 전달했다. 예총이 범 문화계.시민단체 인사 등으로 건립위원회 및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오는 10월 30일까지 공사를 재개할 것을 권고했다. 그렇지 못할 경우 2002년 지급한 국고보조금 50억원을 환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한국의 대표적 문화예술단체인 예총이 문화예술인의 종합복지공간을 목표로 1996년 착공했던 예술인회관은 외환 위기 당시 시공사(쌍용건설)의 부도로 99년 공사가 중단됐다. 98년까지 정부는 170억원의 국고를 지원했으며, 2002년 50억원을 추가 지원했다.

문화부 곽영진 예술국장은 "지난달 감사원이 문화부에 예술인회관 공사는 (예총으로 하여금) 기한을 정해 공개.투명한 원칙에 따라 추진해야 한다고 통보했다"며 "예총에 기회를 한번 더 준다는 입장에서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상황이 여전히 불투명하지만 문화계가 머리를 맞대면 묘안이 나올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예총은 공사 재개에 낙관적이다. 문화부의 입장을 반영한 사업추진계획서를 곧 내놓을 예정이다.

예총 김종헌 사무총장은 "예총이 소유한 서울 남현동 부지(시가 50억원 규모)를 매각하고, 원래 시공사에도 공사 중단.지연에 따른 손해 대금을 요구하는 등 공사 재개에 필요한 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상 20층, 지하 5층으로 설계된 예술인회관의 사업비는 당초 390억원(부지 매입비 105억원 별도)에서 현재 515억원으로 늘어났으며, 공정률은 50%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예총은 범 문화계 인사로 구성된 건립위원회 구성에는 반대했다. 사업 주체인 예총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위원회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예술인회관을 원점부터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화연대 이원재 사무처장은 "예술인회관에서 문화공간은 10%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임대용"이라며 "예총에 대한 특혜성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회관 건립을 전제로 한 문화부의 위원회 구성안에도 동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박정호 기자

*** 바로잡습니다

8월 5일자 21면 '예술인회관 공사 재개 못하면 국고 환수' 기사 중 "예술인회관은 외환위기 당시 시공사(쌍용건설)의 부도로 99년 공사가 중단됐다"는 시공사의 부도가 아니라 시공사의 '워크아웃'(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작업)이기에 바로잡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