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담보 안잡은 종금.리스사 정부에 자금지원 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기아.아시아자동차가 현대로 넘어가는 것이 유력해지자 채권 금융기관들이 크게 당황하며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담보를 잡아 놓지 않은 종합금융사와 리스사 등은 부채를 한꺼번에 깎아줄 경우 자기자본을 까먹게 돼 또 한번 퇴출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금사 등은 기아차 부채탕감으로 생긴 손실을 올해 한번에 회계처리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나눠 털어 낼 수 있도록 예외를 인정해 주든가, 은행과 마찬가지로 재정자금을 통한 자본금 확충을 요구하고 있다.

◇ 당황한 제2금융권 = 지난 3월말 현재 기아에 묶인 종금사 대출금은 11개사의 ▶대출금 1조2천8백81억원 ▶보증채권 8천4백2억원 등 총 2조1천억원에 이른다.

한 회사당 평균 2천억원씩 물려 있다.

많은 회사는 4천억원이 넘는다.

문제는 기아차 부채를 탕감해 줄 경우 담보가 없는 종금사 대출금부터 깎아 줄 수밖에 없는데 이럴 경우 종금사들은 무더기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게 된다는 데 있다.

종금업계 고위 관계자는 "현재 기아차 대출금은 대손 (貸損) 충당금을 30%밖에 쌓지 않았다" 며 "종금사 대출금을 탕감해 주면 모자라는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해 자본잠식이 불가피하다" 고 지적했다.

종금업계는 이에 따라 손실금을 3년 이상 나눠 회계처리하도록 해주든가 성업공사가 기아채권을 비싼 값에 사 주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현대측의 입찰조건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 눈치 보는 은행권 = 담보를 많이 잡고 있는 은행들은 정부 눈치만 보고 있다.

내심으로는 부채를 많이 깎아 주면 손해가 많이 나 겨우 맞춰 놓은 국제결제은행 (BIS) 자기자본비율이 떨어질까 걱정하고 있지만 낙찰결과를 거부할 경우 안팎의 비난 때문에 이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