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창' 외곽 311만평 신도시 개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경남 창원과 마산 외곽 5개 읍.면 지역 311만여평이 신도시로 개발된다. 3일 경남도에 따르면 창원시 동읍, 북면 234만여평과 마산시 진동면 77만여평 등 311만평을 주거.상업.공업지역으로 개발하는 도시관리계획을 마련했다.

창원은 북면 내곡리 4개지구, 북면 무곡.무동리 2개지구, 감계리 2개지구, 마산리, 동전리, 신방지구 등 11개 지구로 나눠 개발된다.

마산권에 건설될 신도시(진동면 진동.사동리)는 마산산업단지 배후도시 역할을 하게된다.

마산산업단지는 진북면 신촌리 일대 27만6000여평에 조성되며 2005년 착공, 2008년 준공될 예정이다.

사업비 1790억원은 민자유치나 공영개발로 해결할 방침이다. 이곳은 현재 마산 도심에 있는 한일합섬이 이전 대상지로 검토중인 곳이다. 시 관계자는 "배후도시 분양으로 남긴 이익금을 산업단지 조성비에 사용하면 공업용지 분양가를 낮출 수 있어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도시 주변에는 창원 12만평,마산 29만평 등 41만평의 공단이 조성된다. 직장과 거주지 간의 동선을 줄이는 자족형 도시로 가꾸기 위해서다. 공단 입주업체는 전기전자.조립금속.자동차부품 등 공해가 없는 첨단 산업위주로 제한된다.

또 신도시 중심부에는 창원 9만평, 마산 2만7000평 등 11만7000여평의 상업지역을 넣어 주민들의 생활불편을 최소화했다.

도는 녹지면적을 최대한 넓게 잡아 마산.창원의 전원주택 단지 수요를 흡수할 방침이다. 신도시가 조성되면 창원.마산의 과밀화도 많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신도시 개발을 위해 2006년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 2007년 착공하는 일정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신도시가 계획대로 추진되려면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도시관리계획 구역에 편입되는 농지.임야를 전용하는 문제에 건설교통부가 제동을 걸 가능성이 크다. 너무 많은 면적을 개발해야 하기 때문이다. 막대한 사업비 확보도 걱정거리다. 민간자본을 유치한다는 방침이지만 불황이 장기화 할 경우 민간 투자자들이 선뜻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