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관·LG금속 등 대기업 본사 잇단 지방 이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경제위기 이후 기업들이 서울 본사를 지방에 있는 공장으로 옮기는 등 '지방화' 붐이 일고 있다.

처음에는 중소.중견기업 중심이었는데 최근에는 내로라 하는 대기업들이 많이 눈에 띤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자체의 유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성과가 없던 '지방 이전' 이 IMF 시대를 맞아 임대료 등 부담을 덜기 위한 목적에서 자발적으로 이뤄지는 것이다.

삼성코닝의 경우 서울대치동 글라스타워 빌딩내 3개층에 입주해 있던 기획.총무.인사 등 본사부서 인원 1백여명이 이달 말 수원공장으로 이전한다.

서울남대문 대경빌딩 2개층을 쓰던 삼성전관도 자금.수출부서 일부만 남기고 사장실을 포함한 관리.인사 등 1백여명을 수원공장으로 옮겼다.

삼성전관은 이를 통해 사무실 임대료 등 연간 수십억원을 아낄 수 있게 됐다.

LG금속은 비용절감은 물론 외자유치를 위해 본사를 경남 온산으로 옮긴 케이스. 현재 대규모 외자유치를 추진중인 LG금속은 지난달 기획.총무파트를 온산공장으로 이전한데 이어 연내에 영업.자금팀 등 서울 본사에 있던 전 직원을 온산공장으로 옮길 예정이다.

LG금속 관계자는 "해외 투자자들에게 현장중심의 경영체제를 갖추고 있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지방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고 말했다.

이밖에 천광산업.케이씨텍.한국폴리우레탄 등 중소기업들도 서울 본사를 폐쇄하고 경기도 안성 등에 있는 공장으로 옮겼다.

그러나 본사의 지방 이전에는 '손실' 도 없지 않다. 중앙부처나 금융기관과의 협의가 지연되거나 정보습득.교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삼성경제연구소 김갑성 (金甲星) 박사는 "지방이전 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등의 조치와 생활기반시설 확충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고 지적했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