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규탄대회''단독국회' 배수진치고 총공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회는 언제쯤 정상화될 것인가. 언뜻 보기엔 정상화는 난망이다.

오히려 여야간 정면대결 양상은 이번주중 더욱 고조될 것으로 예상되는 터다.

한나라당은 15일 텃밭격인 대구.경북에서 '김대중정권 야당파괴 저지 규탄대회' 를 갖는다.

한나라당 고위 관계자는 "당으로서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이 대회가 정국의 분기점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일단 최대한 몰아붙이겠다는 것이다. 여권도 뒤질세라 총공세를 펴고 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21일까지 야당이 국회로 들어오지 않으면 우리끼리라도 정기국회를 운영하겠다" 는 입장을 분명히 해두고 있다.

국민회의 정동영 (鄭東泳) 대변인은 13일 한나라당 의원 부인들이 국세청이 모금한 대선자금의 일부를 쇼핑 등으로 썼다는 검찰의 수사내용을 상기시키며 "돈을 쓴 시점이 IMF사태 이후인 점으로 미뤄보면 한나라당 지도부가 얼마나 부정부패한 집단인지 알 수 있다" 고 직격탄을 퍼부었다.

여야 모두 겉보기로는 대화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는 분위기다.

그러나 이같이 배수진을 친 여야의 총공세가 대화로 가기 전의 마지막 진통단계로 파악하는 분석이 꽤나 설득력을 갖는다.

여야 모두 정국파행을 방치하기엔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우선 여권으로선 정권 출범후의 첫 정기국회를 단독으로 몰고 갔을 때의 부작용과 후유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이번 국회엔 정부가 제출한 법안만도 2백56건이다.

예년에 비해 두배 이상 많다.

한나라당 역시 무한정 장외 투쟁을 벌일 입장이 아니다.

자칫 여론의 뭇매도 예상되고, 아직 당체제도 정비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여야 대결정국의 고리를 풀어나가려면 어떤 방식으로든 서상목 (徐相穆) 의원건을 처리해야 한다.

이와 관련, 徐의원은 13일 "검찰출두를 포함한 모든 문제를 검토 중이며 조만간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겠다" 고 말했다.

자진출두 암시로 보인다.

만일 徐의원 문제가 해결되면 일단 최대의 걸림돌이 치워지는 셈이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은 10월 7일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다.

방일 전 정치지도자들을 만나 대화를 나눈다는 자연스런 명분이 생긴다.

게다가 金대통령이나 한나라당 이회창 (李會昌) 총재 모두 영수회담은 언제든지 가능하다는 점을 여러차례 밝힌 바 있다.

그래서 여야의 극한 대결이 정점을 통과하는 이번 주말께 국회정상화를 위한 막후교섭이 활발해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김종혁.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