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사, 정부중재 거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리해고를 둘러싼 현대자동차 파업사태는 18일 정부의 중재를 노사 (勞使) 양측이 거부함으로써 농성 노조원 해산을 위한 경찰투입이 예상되는 등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에 대한 경찰 투입이 정부와 노동계의 극한 대립을 빚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정치권이 노사 중재에 나서기로 해 중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이는 19일이 사태해결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필 (金鍾泌) 국무총리는 이와 관련, 이날 "노사간 대립이 벌어질 때마다 공권력이 투입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며 "노사가 자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공권력 행사가 유보되는 게 옳다"며 현대자동차 사태의 자율해결을 최대한 유도할 것임을 시사했다.

국민회의는 노무현 (盧武鉉) 부총재와 정세균 (丁世均).조성준 (趙誠俊).조한천 (趙漢天) 의원 등 7명으로 구성된 중재단을 울산에 파견했다. 국민회의는 이들의 중재기간에 경찰투입을 자제해 줄 것을 정부측에 요청했다.

한편 이기호 (李起浩) 노동부장관의 중재로 기대됐던 노사협상은 18일 오전까지 노사 양측 모두 양보안을 제시하지 않고 기존입장을 고수, 결렬됐다.

노조는 "임금삭감.일자리 나누기.순환휴가제를 도입해 위기를 극복하자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 며 "정리해고는 어떠한 경우에도 받아들일 수 없다" 고 주장했다.

회사측도 "정리해고에 관한 한 더 이상 내놓을 게 없어 협상 자체가 무의미하다" 며 노조와의 협상을 거부했다.

회사측은 정리해고자 1천5백38명중 9백13명은 2년간 무급휴가, 6백25명은 정리해고를 내세우고 있는데 대해 노조는 6개월씩 유급 순환휴가로 맞서고 있다.

노사협상이 진척되지 않자 경찰은 18일 오전부터 1백개 중대 1만2천여명을 회사 7개 출입구에 전진배치, 근로자들의 출입을 막고 회사 투입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한편 시민단체들이 현대자동차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김중배 (金重培) 참여연대 공동대표.권영길 (權永吉) 국민승리21 대표.김진균 (金晋均) 서울대 교수 등 각계 원로 및 시민.사회단체 대표 19명은 이날 오전 명동성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에 대해 공권력 투입 철회를 요구했다.

이들은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울산 현지로 내려가 중재에 나서겠다" 고 밝혔다.

울산 = 황선윤.김상우.우상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