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발표 공기업 표정]“대량감원 불보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3일 정부의 공기업 민영화계획이 발표되자 해당기업 노조들은 대부분 대량감원 등을 우려하면서 반발하고 나섰다.

노조단체는 파업을 예고해 부실은행 퇴출에 이어 적지않은 후유증이 뒤따를 전망이다.

그러나 학계.시민단체 등은 경영합리화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하면서 매각과정과 평가절차를 공개, 특혜시비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초등학교 교과서를 만드는 국정교과서 직원 4백80여명은 이날 오후 충남 연기군 본사에서 인쇄기 작동을 30분간 중단하는 등 민영화 계획에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임재열 (林栽烈.52) 노조위원장은 "정부가 민영화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루아침에 저버렸다.

2학기 교과서 공급에 차질을 빚지않는 범위내에서 부분파업을 벌이겠다" 고 밝혔다.

한국담배인삼공사 노조 (위원장 姜大興.52) 도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담배제조 독점권을 폐지하고 8개 공장중 3개 공장만 남겨 6천8백여명의 직원을 4천명으로 줄이겠다는 민영화 방침은 실현 불가능한 것" 이라고 주장했다.

담배인삼공사 노조는 5일 서울 종묘공원에서 노조원 7천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통신 노조 등과 민영화반대 집회를 가질 예정이다.

한국중공업 노조도 비상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정부가 그동안 노조가 주장해온 국민기업형 방안과 전혀 다른 안을 발표한 것은 횡포" 라며 이날 오후 3시부터 2시간동안 시한부 파업을 벌였다.

한국통신 노조는 "정부지분을 해외에 매각하면 외국 투기자본이 수익을 위해 공익성 사업을 포기, 통신요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서민들의 부담이 더 늘어나게 된다" 며 정부계획에 반발하고 있다.

민주노총 (위원장 李甲用) 과 한국노총 (위원장 朴仁相) 은 정부의 일방적 구조조정에 반대, 오는 12일 서울 여의도 한강둔치에서 노동자와 가족 등 20여만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한 뒤 14일 금속산업연맹, 15일 금융.공공부문 총파업을 단행키로 했다.

반면 포철 직원들은 공기업이면서도 그간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온 포철에는 민영화 조치가 획기적인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사회부.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