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2모작’ 지원책 … 전문가급 퇴직자 해외 파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인생 2모작’ 지원책을 마련했다. 민간과 공공기관 출신의 퇴직 전문가들을 내년부터 동남아·중동 등 개발도상국에 파견하기로 했다. 정부는 24일 총리실 박영준 국무차장 주재로 제20차 고용 및 사회안전망 대책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퇴직 전문가 해외 진출 지원방안’을 확정했다.

먼저 외교통상부 주재로 ‘중장기 자문단 파견사업(World Friends Advisers)’이 시작된다. 내년에 경제개발·인적자원 개발·행정제도 등 8개 분야 전문가 50명을 개도국에 파견한다. 지식경제부는 ‘퇴직 전문가 파견사업(Gray Expert Project)’을 신설해 내년에 50명을 해외 파견한다. 중장기 자문단 사업이 공공영역 위주라면, 퇴직 전문가 사업은 지리정보 시스템·항만물류 시스템·지능형 교통시스템 등 민간 부문 중심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이들의 체재비와 항공료·자문비 등을 현지 물가 기준으로 1년간 전액 지원한다. 2년차엔 민간 30%, 3년차 이상은 민간이 100% 지원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공공·민간 간 파트너십을 맺기로 했다. 퇴직 전문가 공모는 파견 대상 국가의 수요 조사가 끝나는 대로 시작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 수요조사 결과 6월 현재 중국·인도·수단 등 14개 국가가 96건의 인력 파견을 요청해온 상태다. 공모 대상은 “자타가 인정하는 전문가로 봉사 정신과 전문성을 갖춘 사람”(총리실 김영선 고용정책팀장)이다. 다만 봉사 성격이 강한 만큼 퇴직 전 받던 급여 수준과 관계없이 최소한의 활동비만 지원된다. 파견 규모는 사업 성과에 따라 단계별로 늘려 가기로 했다. 이날 회의는 이례적으로 전 과정이 언론에 공개됐다. “절차와 과정을 공유해야 신뢰가 형성된다”(박 국무차장)는 이유에서다. “대기업들의 전문가 데이터베이스를 이번 프로젝트와 연계해야 한다”(노동부 이재갑 고용정책관), “구체적 지원 방안을 매뉴얼로 정리해야 한다”(기획재정부 윤종원 경제정책국장) 등의 의견이 나왔다.

청와대 이영호 고용노사비서관은 “이명박 대통령은 고령자 일자리 창출을 강조해왔다”며 “활발히 일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고령자 대신 신장년층, 5060세대 등 새로운 용어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