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E-메일 통신]완벽한 연구계획서 요구는 부적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Q : 학계에 재직하는 연구자로 연구소의 부조리를 질타하는 기사 (1일자 25면)에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기사중 과학자들이 연구계획서를 낼 때 '반쯤은 연구가 됐을 만큼'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논조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연구라는 것이 원래 실패 확률이 높은 것이고 이 과정에서 얻는 것도 많기 때문입니다.

A : 과학자들의 연구는 10%만 성공해도 사실 대단한 것입니다. 그만큼 실패확률이 높은 거지요. 그러나 연구자들이 대부분 대충대충 적당히 연구계획서를 작성해 내는 우리 풍토는 고쳐져야 할 것입니다.

현재 정부에 연구계획서를 제출, 연구비를 타는 과학자들의 수는 연평균 2천~3천명을 헤아립니다.

이들 연구자중 상당수가 ^과거에 자신이 한 연구의 제목을 살짝 바꾸거나^외국학자가 한 연구를 조금 변형하는 등의 편법을 쓰고 있습니다.

물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갖고 심각하게 궁리한 후 연구계획을 짜는 학자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길어야 한두달만에 성의없이 작성하는 연구계획서는 대부분 부실한 것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우리 실정에서 보통 정부발주 연구는 3년짜리 과제가 대부분입니다. 이들 연구에서 첫 1년은 국내외의 관련기술 조사니 뭐니 해서 연구다운 연구보다는 서베이 수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비록 실패하더라도 성실하고 진지한 연구는 얼마든지 수용돼야 합니다.

치밀하지 않더라도 아이디어가 빛날 때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연구계획서에 대한 심사는 철저해야 할 것입니다.

김창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