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추가핵실험]미국·일본 등 인도차관 전면중단 압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지난 11일에 이어 13일 또다시 핵실험을 강행한 인도에 대해 미국과 일본이 강도높은 제재조치에 돌입하는 등 국제사회의 대 (對) 인도제재가 본격화되고 있다.

독일을 방문중인 빌 클린턴 미대통령은 이날 베를린에서 콜 독일총리를 만나기에 앞서 "인도의 핵실험은 인류의 안녕을 해치는 주요한 사건" 이라고 규정짓고 앞으로 식량과 인도적 차원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경제적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특히 국제통화기금 (IMF) 과 세계은행 등 국제 금융기관들의 대 인도차관 지원에 모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혀 인도에 대한 경제적 압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미국은 또 인도 군부에 제공하고 있는 컴퓨터 관련 부품과 고도의 기술제공도 전격 중단한다고 밝혀 이번 조치가 경제적 압박 차원을 넘어 인도 군부에 대한 경고 메시지까지 담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미정부와 금융기관들의 차관제공 중단과 신용보증도 전면 중단키로 해 인도의 대외무역이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클린턴 대통령의 이같은 강경조치는 곧바로 서방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한 대 인도 지원동결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인도는 경제적으로 사면초가에 몰릴 수밖에 없게 됐다.

최초의 피폭국으로 핵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일본도 인도에 대해 강경하다. 하시모토 류타로 (橋本龍太郎) 일본총리는 13일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앞으로 인도에 대해 인도적 차원을 제외한 정부개발원조 (ODA) 차관 등 모든 종류의 경제적 원조를 중지키로 했다고 밝혀 미국과 보조를 맞추고 있음을 확실히 했다.

특히 오는 6월30일 도쿄 (東京)에서 있을 예정인 세계은행 주최의 '인도 지원국회의' 를 무기 연기하겠다고 밝혀 강도높은 경제적 압박이 가해질 것임을 밝혔다.

여기에다 올해 인도에 제공키로 한 2천6백만달러 규모의 구제금융 지원도 무기한 유보했다. 스웨덴은 13일 오후 향후 3년동안 인도에 대해 지원키로 했던 1억1천9백만달러 규모의 차관지원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스웨덴은 12일 이번 사태를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 제기할 것이라고 밝혀 국제적 문제로 비화시킬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밖에도 중국과 호주.뉴질랜드도 성명을 발표, 핵실험에 대해 강도높게 비난하고 경제적 제재조치에 동참할 의사를 밝히고 있다. 이에 앞서 미 국무부는 12일 미주재 인도대사를 소환, 국제협약을 어기고 핵실험을 강행한 인도의 조치에 강력 항의했다.

정현목 기자

〈gojh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