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구조조정 추진현황]자동차문제 "국익 우선 고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삼성그룹의 '구조조정 추진현황' 발표를 계기로 대기업이 추진중인 개혁의 방향이 보다 가시화되고 있다. 삼성의 이날 발표 내용에는 그동안 대기업 개혁과 관련해 논란이 됐던 내용들이 상당부분 구체화돼 있어 7~8일중 발표 예정인 다른 그룹의 구조조정 내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 개혁이 제대로 안되는 것 아니냐는 비판적 여론을 감안해 보다 진전된 내용을 포함시킨 것으로 보인다" 고 평가했다. 삼성도 이날 "최근 사회 일각에서 대기업 구조개혁의 내용과 속도가 미흡하다고 지적하는 데다 고용불안에 대한 노동계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어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려는 차원에서 발표하게 됐다" 고 설명했다.

삼성의 발표내용은 ^사업구조 축소 재편^50억달러 외자유치 추진^부채비율 감축^고용안정 방안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특히 관심을 끄는 부분은 논란이 되고 있는 자동차사업 관련 내용. 삼성은 그동안 되도록 공식적인 입장 발표를 자제하던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현재 해외 전문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및 외자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 국가 자동차산업의 구조조정에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방향은 '국가와 국민경제에 도움이 되는 쪽' 이라고 제시했다.

외부 상황변화를 감안해 보다 신축적으로 대처해 나가겠다는 내용이다. 삼성 관계자는 이와 관련, "자동차산업을 포기하겠다는 것은 아니며 주력사업으로 육성할 의지는 분명히 있다" 고 말했다.

다만 자동차의 지분만 갖고 경영은 하지 않는 형태로의 분리 문제도 검토해볼 수 있지만 외자 제휴 등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아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는 것이다. 삼성은 또 외자유치.고용안정 문제와 관련, 보다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내놓았다.

무엇보다 구조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잉여인력 처리에 있어 최악의 경우가 아니면 정리해고를 최대한 자제하기로 입장을 정리했다.

고통분담 (인건비 조정) 을 통해 해결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실업난 완화를 위해 신입사원 채용도 규모를 조금 줄이되 중단하지는 않기로 했다. 그러나 이날 발표한 구조조정 계획을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자동차산업 구조조정은 회사마다 이해관계가 엇갈려 쉽사리 결론짓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공정거래위원회 관리 기준으로 10개인 업종을 전자.금융.서비스를 포함한 4~5개로 줄이는 방안도 칼로 두부 자르 듯 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삼성은 당장 이날 발표에서도 "종업원.사업장의 동요와 경영 혼란으로 구조조정 작업에 막대한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 며 포기할 업종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전자부품사의 통폐합을 추진하는 등 업종내의 구조조정도 병행키로 했지만 이 부분 역시 종업원의 일부 동요가 벌써 우려되고 있다.

유규하 기자

〈ryth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