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핫라인 가동됐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 14일 발생한 북한 경비정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월선과 관련, 경고 사격을 한 남측 함정이 북 경비정으로부터 함정 간 교신 응답을 받은 사실이 합동참모본부에 보고되지 않은 것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조영길 국방부 장관에게 16일 지시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로부터 "당시 북측 경비정이 세 차례에 걸쳐 남측 함정에 무선으로 응답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보고를 받은 뒤 이같이 지시했다.

사건이 발생했던 14일 합참은 "북측 경비정이 NLL 쪽으로 접근하는 것을 보고, 우리 측이 함정 간 무선통신망을 통해 네 차례에 걸쳐 경고했지만 북측이 답하지 않고 NLL을 넘어 남하했다"고 발표했었다.

남대연 국방부 대변인은 16일 "함참의 당시 발표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며 "국방부는 이번 사태가 발생한 데 대해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에 앞서 15일 저녁 "우리 측이 (서해안 충돌 때) '지금 내려가고 있는 선박이 우리(북) 어선이 아니고 중국 어선'이라고 호출했음에도 남측의 응답이 없었다"는 내용의 항의 전화통지문을 보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전화통지문은 서해지구 남북 해군부대 간 설치된 핫라인(유선전화)을 통해 전달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박정조(3사 2기.소장)국방부 동원국장을 단장으로 국방부와 국가정보원.국군기무사령부 등 관련 기관의 9명으로 합동조사단을 구성, 즉각 진상조사에 들어갔다.

남대연 대변인은 "북측 함정의 무선 송신은 함정과 2함대사.해군작전사엔 보고됐으나 합참까지는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조사단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상황에 대해 이른 시일 내에 조사를 마칠 것"이라고 했다.

조사단은 NLL 해상에서 해군 함정이 북측 함정과 교신한 내용과 상황, 이를 상부에 보고한 과정, 합참 보고가 누락된 배경, NLL을 넘어 남하한 선박이 북한 함정인지 중국 어선인지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김민석 군사전문기자,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