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후유증에 머리싸맨 국민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6.4지방선거를 앞두고 단체장 후보 경선을 둘러싼 각당내 불협화음이 증폭되고 있다.

상대 후보측 불법선거를 주장하며 '승복할 수 없다' 는 이의신청이 줄을 잇고 있다. 대의원들을 금품으로 매수했다는 게 주된 이유다. 대의원 등의 선정에 정실이 작용했다거나 투표에 지역감정이 작용했다는 주장 등도 나온다. 특히 국민회의쪽은 잡음이 심하다. 경합지역에 한해 경선을 실시하는 한나라당이나 모든 단체장을 상의하달식으로 뽑는 자민련과 달리 원칙적으로 모든 단체장에 대해 경선을 치르기 때문이다.

자연히 불복사례도 많아 정균환 (鄭均桓) 사무총장은 "현재까지 40여곳에서 이의신청이 들어왔다" 고 밝혔다. 당은 이들 지역중 15개 지역을 추려 6개 실사팀을 급파했다.

▶서울 (노원) ▶인천 (계양 - 강화갑, 남구갑, 서구) ▶경기 (수원 권선, 용인, 동두천, 양주,가평, 양평) ▶충북 (청주 흥덕구) ▶전북 (김제, 임실 - 순창) ▶전남 (광양) 등이다. 실사대상엔 포함되지 않았으나 서울 도봉구청장 경선의 경우 대의원 丁모씨가 지난 1일 대의원 6명이 20만원씩을 받았다고 폭로, 파문을 일으켰다.

지구당간 갈등으로 경선조차 이뤄지지 못한 곳도 있다. 선출지역이 2개 이상의 지구당으로 분리된 서울 송파.강서.광진구 등. 결국 송파.강서에서는 복수의 후보자를 중앙당에 올려보냈고 광진구에선 정영섭 현 구청장이 2일 탈당해 버렸다.

한나라당도 지난달말 치러진 부산시장 경선 후유증이 좀처럼 아물지 않는다. 안상영 (安相英) 전시장이 문정수 (文正秀) 현시장을 누른 이곳에서는 아직도 후보들의 거액 살포설이 난무한다.

사전조정과 중앙당 임명으로 후보를 결정하는 자민련도 금품시비에서 완전 자유롭진 않다. '공천 = 당선' 인 충청권을 중심으로 공천의 열쇠를 쥔 지구당위원장 등에 대한 매수설이 끊임없이 피어오르고 있다.

남정호 기자〈nam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