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체제정비 '문제는 돈']정책정당 거듭나기 진통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 당체제정비 = 자민련은 최근 국민회의가 정책발표를 독점하는데 대해 불만이 크다.어려울땐 '공동정권' 을 강조하다가 생색은 혼자 낸다는 불평이지만 재빨리 정책정당으로 탈바꿈하지 못했다는 자성도 깊다.

이에 따라 정책기능 강화 움직임이 빨라졌다.정책위의장 산하에 정치.경제.사회 분야를 각각 다루는 3개 정책조정위를 신설했고, 정책전문위원 5~6명을 공모하고 정책국을 확대 개편할 계획이다.이와 별도로 실업대책특위와 미래산업연구팀도 구성했다.

특히 미래산업연구팀을 '싱크 탱크' 로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외부전문가들에게 광범위한 자문을 하고 있다.자민련은 또 8일 노동부로부터 실업현황과 대책을 보고받은데 이어 앞으로는 독자적으로 정부 각 부처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기로 했다.

정부 산하단체 등으로 전출을 희망하는 사무처요원과 원외지구당 위원장 1백여명에 대한 구직대책도 펼치고 있다.

자민련출신 장관들에게 해당 부처 산하 기관에 자리가 생기면 즉시 사무총장에게 연락하도록 하고 총리 재가를 받아 부처별 소화인력을 할당하는 방안도 모색중이다.

◇ 쉽지않은 자금조달 = 자민련은 대선후 매달 전국 2백여 지구당에 내려보내던 운영보조비 1백만원 지급을 끊었다.그만큼 사정이 안좋다.

자산은 전세로 있는 서울마포구신수동 중앙당사의 임대료 23억원이 전부. 공식적인 월수입은 국고보조금 5억원과 총재단 등 간부들이 내는 당비 5천만원 등 5억5천만원선. 지난 대선때 후보를 내지 않아 그에 따른 국고보조금도 없다.그러나 사무처요원 인건비 (2억3천만원).정책개발 및 홍보비 (2억원).지구당 지원비 (2억3천만원) 등 필수지출만도 7억원이 넘는다.

자연히 1억5천만원 이상의 결손이 생길 수밖에 없다.

"당이 그나마 굴러가려면 10억원은 있어야 한다" 는 당직자들 말대로라면 결손규모는 월 4억원을 웃돈다.야당시절엔 모자라는 금액을 주로 김종필 당시 총재와 당의 몇몇 재력가들이 메운 것으로 알려진다.

JP가 떠난 뒤 부족분 충당은 박태준총재의 몫이지만 여의치 않다는 것. 대선 이후 쓰임새는 커지고 돈 쓸 곳도 많아지고 있는데 뒷받침이 안된다는 얘기다.

박구일 (朴九溢) 사무총장은 "야당때와 하나도 달라진 게 없다" 고 토로한다.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