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선 PL상품이 매출의 절반 “한국은 8%뿐 … 급성장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영국에서는 PL(Private Label·유통업체 자체상표) 상품 비중이 유통업체 전체 매출액의 48%를 차지합니다. 세계적으로도 성장 추세는 계속될 것입니다.”

26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 PL박람회’에서 만난 PL제조회사협회(PLMA) 브라이언 샤로프 회장은 PL이 유통업계의 대세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시장조사 업체 닐슨에 따르면 서유럽 국가는 유통업체 매출의 30~40%, 동유럽 국가는 20%대를 PL 상품이 차지하고 있다. 가장 낮은 수준인 그리스와 터키도 18%와 13% 수준이다.

샤로프 회장은 “한국에서는 PL 비중이 8%에 불과하기 때문에 PL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PL이 유통업체와 소비자, 제조회사 모두에게 이익이라 매년 박람회 참가 업체들이 10%씩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PL박람회는 PLMA가 PL 제품 전시·판매를 위해 매년 유럽의 암스테르담과 미국의 시카고에서 해마다 두 차례 여는 행사. 이번엔 세계 70여 개국, 2000여 개 제조업체가 제품을 전시했다.

샤로프 회장은 “불황에도 시간에 쫓기며 일하는 사람이 많아 올 박람회엔 전자레인지에 데우기만 하면 먹을 수 있는 즉석 조리식품 제품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네덜란드·독일·스페인 등 각국의 식품회사들이 오믈렛에서부터 피자, 연어 스테이크 등 각종 요리를 기능성 포장에 담아 출품했다. 캔 용기 내부의 플라스틱 뚜껑을 누르면 2~3분 만에 데워지는 치킨수프와 커피 등이 대표적이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우던 PL 제품이 유기농·친환경 원료를 쓰는 등 고급화하는 추세도 뚜렷했다. ‘환경친화상품’ 코너에서는 친환경 면으로 만든 기저귀와 무독성 소재로 만든 장난감, 화학 성분 없이 모기를 쫓아 주는 팔찌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이마트는 ‘즉석조리 재첩국’ 등 64종을 이번 박람회장에 전시했다. 처음으로 마련된 한국관에는 밀폐 용기·문구류 등을 만드는 중소기업 여덟 곳이 참여했다.  

암스테르담=김성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