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정기권 철도청서 "NO"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오는 15일부터 지하철 정기권을 판매하려는 서울시의 방침에 대해 철도청은 12일 "혼란과 불편이 예상된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 지하철 정기권은 시내라도 철도청이 관리하는 구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게 돼 실효성이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철도청은 이날 정부 대전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의 정기권 도입은 거리에 따라 요금을 매기는 거리비례제에 위배되며 관련 기관 협의를 전제로 하는 도시철도법 및 연락 운송 협정을 위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철도청은 정기권이 도입될 경우 연간 1244억원의 수익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이 가운데 서울시 구간 손실분은 390억원이며, 경기도 구간에서 690억원, 인천시 구간에서 164억원의 손실이 날 것으로 분석했다.

철도청은 이 같은 손실분을 해당 지자체가 모두 부담하면 정기권 발행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서울시를 제외한 인천시와 경기도는 손실분 분담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15일 예정대로 서울 시내 구간용 정기권을 발행한 뒤 서울 시내 철도청 구간에서 정기권을 사용하는 문제는 철도청과 계속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경실련은 성명을 내고 "대중교통체계 개편으로 발생하고 있는 불편과 혼란이 조속히 해결되도록 수도권 환승체계를 구축하고, 지하철 정기권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들은 공동 협력하라"고 촉구했다.

김기찬.정형모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