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대통령 "대학입시 완전 자율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대통령은 4일 "교육체제에 본질적인 변화가 있어야 하고 일률적인 시험도 지양돼야 한다" 며 "대학입시제도를 완전히 대학 자율에 맡기겠다" 고 말했다.

대통령 당선 직후 신문.방송 정치부장단과의 간담회 및 대통령직 인수위의 1백대 과제 등에서 이같은 대입제도 자율화 방침을 밝힌 바 있는 金대통령은 창간 78주년을 맞은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학 자율화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측은 "98학년도 입시와 큰 변화가 없는 99학년도 입시계획을 현재 확정한 상태" 라며 "입시 자율화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은 아직 없다" 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오늘의 교육은 과거 산업사회의 수요에 의해 규격제품을 반복 생산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것일 뿐이며 21세기 정보화시대에는 맞지 않는다" 고 지적했다.

金대통령은 "대학에 들어가고 싶은 사람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가게 해줘야 한다" 면서 특히 이공계 (理工系) 대학정원을 대폭 증원할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자기대학 출신들을 주로 쓰는 대학의 교수채용 풍토에 대해 "법으로 정해서라도 자기대학 출신은 몇십%밖에 못쓰도록 해야 한다" 면서 "대학 학점제도도 고쳐져야 하며, 입사시험에서도 학력제한이 철폐돼야 한다" 고 강조했다.

또 "가정경제를 망치는 사교육비를 줄이는 교육개혁을 기어이 해낼 생각" 이라고 다짐했다.

金대통령은 자민련과 약속한 내각제 개헌작업 착수시기를 묻는 질문에 "합의한 약속은 지킨다" 면서 "그러나 IMF사태를 정리해 놓고 내년에 논의해도 늦지 않을 것" 이라고 밝혔다.

金대통령은 국회의 총리인준 무산에 대해 "한나라당 조순 (趙淳) 총재가 무기명 비밀투표를 약속했으나 지켜지지 않았다" 고 유감을 표명한 뒤 " (앞으로) 한명도 빠짐없이 무기명 비밀투표가 이뤄져야 한다" 고 주장했다.

그는 "재벌의 시대는 끝났다" 면서 "재벌개혁을 위해서는 은행개혁이 선행돼야 하나 요즘 은행들의 주주총회 상황을 보면 개혁의지가 부족하지 않나 걱정스럽다" 는 말로 최근의 은행장 선임과정에 불만을 나타냈다.

金대통령은 김영삼 (金泳三) 정부의 경제실정 (失政) 규명작업과 관련, "비리는 감사원에서, 정책적인 문제는 국회에서 따질 것" 이라고 말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