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김종필총리 인준]야당 집안단속 분주…이탈표 방지 묘안 짜내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JP반대로 당론을 정한 한나라당의 고민이 더욱 깊어가는 모습이다.

소속의원들의 행동통일을 강제할 수 있는 묘책이 없기 때문이다.

당론이 정해졌음에도 JP찬성론을 주장하고 있거나 침묵하고 있는 상당수 의원들이 부담이다.

물론 의원들에게 가부 (可否) 투표를 허용해 반대를 관철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일부 당직자들도 이같은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의원들을 기표소에 들어가게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게 지도부의 딜레마다.

만일 가결이라도 되면 당은 엄청난 내홍에 휩싸이게 된다.

이한동 (李漢東) 대표는 "당이 훼손되고 처참해질 수 있다" 면서 "적당한 방법을 찾아 당론을 당당하고 완벽하게 통일시켜야 한다" 고 강조했다.

현재 한나라당이 생각하고 있는 방법은 대략 두가지다.

본회의장에서 투표지를 받아 그대로 투표함에 넣는 방법이 하나다.

다른 하나는 명패만 명패함에 넣고 투표지는 넣지 않는 방법이다.

물론 둘다 백지다.

기권으로 처리되고 기권은 반대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같은 공개투표 방식은 李대표의 말처럼 '적당했는지' 에 대한 논란이 일게 된다.

사전에 반발하는 의원이 있으면 적전분열이 일어날 수도 있다.

조순 (趙淳) 총재는 이상득 (李相得) 총무에게 "모양새가 나쁘지 않도록 하라" 는 지시를 했다고 한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계파차원의 이해. 당내에는 JP총리인준을 찬성하거나 유보적 태도를 보이는 의원들 가운데 '특정계파' 가 많다.

이를 감안해 22일엔 이한동 대표와 김윤환 (金潤煥).이기택 (李基澤).김덕룡 (金德龍).서청원 (徐淸源) 씨 등 계파보스들이 만나 구수회의를 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는 자파의원을 단속키로 의견을 모았다고 전해진다.

23일 한나라당 총무단회의에서는 24일 총재와 대표가 당의 입장을 강조하는 기자회견을 갖도록 건의하기로 다수가 의견을 모았다.

25일 의총에 앞서 24일 의총을 다시한번 열고 JP찬성의원들이 "당론에 따르겠다" 고 선언하게 하는 방법도 강구키로 했다.

이같은 한나라당의 문단속 노력이 주효해 새 정부의 출범 첫날에 치명타를 안길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차라리 크로스 보팅을 시키는 게 낫지 않느냐는 얘기도 나오지만 원체 내부 후유증이 클 것이 분명해 아직은 작은 소리다.

김교준·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