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비자금 정국 2라운드]뒤바뀐 여야 공수 교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DJ비자금 의혹사건' 제2라운드가 정치권을 후끈 달구고 있다.

97대선전의 절정을 이뤘던 이 사건이 검찰의 수사재개와 함께 공수 (攻守) 의 주체가 바뀌어 다시 핫이슈로 부상한 것. 더욱이 여야가 'JP총리' 인준문제로 일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란 점에서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DJ비자금사건 2라운드' 는 국민회의가 주도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20일 이회창 (李會昌) 한나라당명예총재가 검찰수사에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

정동영 (鄭東泳) 대변인은 이 사건이 李명예총재가 김대중 당선자를 고발한 사건이고, 피고발자인 金당선자측이 모두 수사를 받았으며, 대선후 검찰이 소취하를 요구했음에도 李명예총재측이 이를 거부했던 점 등을 들어 "야측의 수사협조는 당연한 일" 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민회의는 'DJ 비자금' 계좌추적의 실명제 위반혐의 등에 대해선 비난을 자제하는 등 공세의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

일단 한나라당의 반응을 살피는 것같다.

한편으론 혹시 검찰을 통한 정치보복으로 비쳐질까 우려하는 듯하다.

반면 한나라당은 총력전 태세다.

검찰수사를 맹비난하는 한편 국정조사권 발동을 주장하는 등 맞불작전을 펼치고 있다.

한나라당에선 이번 검찰수사가 김영삼 (金泳三) 정부 출범전의 '부산 초원복집사건' 을 다룬 양상과 흡사하다고 주장한다.

당시에도 수사의 본질인 기관장들의 지역감정 조장의 위법성보다 도청을 문제삼았다는 것. 'DJ비자금' 이라는 본질은 외면한 채 금융실명제위반 혐의를 수사하는 것은 한마디로 '적반하장' 이라고 공박한다.

맹형규 (孟亨奎) 대변인은 "문제를 제기한 사람을 수사하는 것은 도둑을 향해 '도둑이야' 라고 외친 사람을 처벌하겠다는 발상" 이라며 "JP총리인준을 앞둔 야당 길들이기" 라고 주장했다.

장광근 (張光根) 부대변인은 "金당선자가 야당시절 정치보복의 악순환을 없애겠다고 약속했다" 며 "최근사태는 金당선자의 의지와 상관없는 충성경쟁" 이라고 비꼬았다.

아무튼 한나라당은 검찰이 자당 관계자들만 처벌한다면 본회의에서 국정조사안을 통과시킬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신성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