組閣 '당몫' 요구에 김대중당선자 '흔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막바지에 접어든 김대중 대통령당선자의 조각구상에 국민회의의 의견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 것인가.

조세형 (趙世衡) 총재권한대행이 20일 金당선자에게 전달한 당의 의견은 “집권 초기에는 개혁주체세력의 주도하에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 는 것이다.

물론 趙대행은 10명 안팎의 당 추천인사 명단도 첨부했다.

金당선자의 '전문가 우선' 원칙에 대해 당내 인사들이 가진 불만은 “정권이 교체된 게 아니라 대통령만 바뀌었다” 는 말로 요약된다.

이들은 “지난해 12월19일 당선자가 확정되자 '이민가야 하는 것 아니냐' 고 하던 기득권층이 청와대 수석인사를 보면서 다소 안도하더니 이제는 입각거명 대상자들을 음해하는 역공작까지 하고 있” 고 주장한다.

한 3선의원은 “金당선자를 '강화도령' 으로 만들려는 기득권층의 음모가 진행되고 있다” 고 위기감을 토로했다.

당측의 이런 기류는 金당선자에게도 조금씩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2월 임시국회를 거치면서 여소야대 (與小野大) 의 상황이 내각의 활동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절감한 탓도 있다.

결국 '과거 불문 유능인사 기용' 을 통한 지지기반 확충과 개혁주도세력 형성이란 두가지 방향 속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셈이다.

金당선자는 두 주장의 절충선에서 인선을 할 것이란 게 국민회의측의 희망이다.

후보 군 (群) 의 윤곽이 드러났음에도 조각작업이 마무리되지 않고 있는 것도 인선원칙의 잣대가 재검토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趙대행은 이날 金당선자에 대한 보고에 앞서 입각기대치를 5명으로 잡았다.

金당선자가 당측의 요구를 '적정수준' 에서 수용한다면 당내 인사의 내각진입은 4명 안팎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