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빈곤의 대물림 끊기 위한 ‘희망 통장’에 박수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2면

하루하루 먹고살기 급급한 저소득층에게 저축은 한없이 사치스러운 일처럼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그날 벌어 그날 쓰고 사는 인생엔 희망이 없다. 어제와 같은 오늘, 또 오늘과 같은 내일이 있을 뿐 형편이 더 나아지리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지난해 초 ‘희망 플러스 통장’ 사업을 시작한 건 그래서다. 저축 습관이 배어 있지 않은 저소득층에게 의욕을 북돋워 주고자 가입자가 일정액을 저금하면 후원기관이 똑같은 액수를 보탠 뒤 이자까지 붙여 돌려주도록 했다.

통장은 돈이 불어난 것 이상의 마법을 부렸다. 사업이 망한 뒤 별수 없이 운전대를 잡은 택시 기사는 개인택시를 가질 꿈에 부풀어 신바람이 난다고 했다. 기초생활수급자인 가장은 월세를 전세로 바꾸겠다는 희망에 차 불편한 몸을 이끌고 열심히 일한다고 했다. 통장 하나가 실의와 절망에 빠져 있던 소외 계층에게 굳건한 자립·자활의 의지를 심어준 것이다. 초기에 100가구를 모집했는데 반응이 이처럼 좋아서 올 3월 1000가구를 추가로 뽑았고, 연말까지 1만 가구로 늘릴 예정이라 한다.

저소득층에게 저축 습관을 들여주는 것만큼 효과적인 빈곤 대책도 별로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예산으로 당장 필요한 생계비를 대줘봤자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일 뿐 빈곤의 고착화나 대물림 문제를 풀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 40여 개 주에서 수년 전부터 ‘개인발달계좌(IDA)’ 프로그램을 도입한 이유다. 저소득층이 저축을 하면 매칭 펀드를 끌어들여 두 배, 세 배로 불려줬는데 빈곤 탈출의 의지가 커지고 자녀 교육열이 높아지는 등 효과가 컸다고 한다. 서울시의 ‘희망 플러스 통장’이 바로 이 IDA를 벤치마크한 것이다. 그런데 우리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정착하자 IDA 측에서 되레 공동 연구를 제안하는 등 최근 국제적으로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고 한다.

경제 위기로 중산층에서 가난의 나락으로 곤두박질친 신빈곤층을 어떻게 구제할지가 우리 사회의 큰 숙제로 대두한 즈음이다. 이들을 다시 중산층으로 복원시키자면 생계 지원 못지않게 자산 형성 지원 정책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희망 플러스 통장’이 희망의 싹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