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지방선거 대거 출마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올 상반기중 노조의 정치활동을 허용키로 한 노사정 (勞使政) 위원회의 합의에 따라 노동계는 오는 6월4일 실시되는 지방선거에 광역.기초단체장후보까지 내는 등 적극 참여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지역에 따라 단체장과 지방의원 선거에 노동계 단일후보를 내거나 여야 정당과 전술적으로 제휴하는 방안도 모색중이다.

이에 따라 상반기중 예정된 선거법과 정치자금법 개정 등 정치환경 변화와 맞물려 노조의 지방선거 참여는 선거 판도를 좌우할 큰 변수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8일 노동계에 따르면 한국노총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노총 간부출신 인사를 인천시장 후보로 입후보시킬 방침이다.

민주노총이 중심이 돼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결성, 권영길 (權永吉) 후보를 출마시켰던 국민승리21은 울산북.동구와 대전유성구 등 세곳에 노동계 출신 인사를 구청장 후보로 입후보시킬 예정이다.

울산북구는 현대자동차노조, 동구는 현대중공업노조가 포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대선에서 權후보가 각각 14%와 9.7%의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다.

대전유성구는 조합원수 4천여명의 전국과학기술노조 영향력이 강한 지역이다.

양대 노총은 이밖에 광역.기초의원 선거에 전국적으로 각각 수백명씩의 후보를 출마시킨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으며 노동계 단일후보를 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 경우 양대 노총의 세력판도에 따라 경인지역에서는 한국노총이, 마산.창원.울산.거제.대전유성구 등에서는 민주노총이 단일후보를 내세울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 정치활동이 금지됐던 6.27지방선거 당시에도 한국노총에서는 1백13명이 기초.광역의원으로 출마, 44명이 당선됐으며 민주노총에서도 울산.거제 등을 중심으로 30여명의 당선자를 냈었다.

국민승리21 권영길대표의 이상현 (李相炫) 비서실차장은 "앞으로는 대의원의 동의를 거쳐 조합비를 정치활동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돼 정치 참여를 자제해온 현역 노조위원장들을 중심으로 입후보자가 크게 늘어날 전망" 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노조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장기적인 정치일정에 따른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한국노총은 2000년 16대 총선에서 여야를 막론하고 노동계 및 친 노동계후보가 원내 20석 정도를 확보토록 하고 2002년 16대 대선에서는 정당과의 제휴를 통해 정권에 참여한다는 복안이다.

또 2004년 17대 총선에서는 노동자와 국민대중의 독자정당을 창당,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고 2012년에는 집권한다는 계획까지 세워두고 있다.

또 민주노총이 주축이 된 국민승리21은 지난해 대의원대회에서 2000년 총선전까지 진보정당을 창당키로 결정했으며 2002년 대선에도 후보를 낼 방침이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