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은 노사정]전교조 수난의 10년…'참교육'내걸로 출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0여년 동안 '불법' 의 음지에 머물러 왔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이번 노사정 대타협으로 수난의 역사를 뒤로 한 채 제도권 안에 당당히 입성하게 됐다.

4.19 이후 지난 60년 대한교원노동조합연합회가 창립된뒤 곧바로 닥친 5.16 때 용공으로 몰려 해체되면서 뿌리째 뽑혔던 교원의 노조결성이 재결실을 보게 된 셈이다.

전교조는 87년 6.29선언 이후 각계에 불어온 민주화 열풍에 힘입어 교단 민주화와 참교육을 내걸고 등장했다.

태동 초기 자주적 교원단체 결성.잡부금 철폐 등을 주장하며 시작된 교사들의 모임은 전국 단일조직으로서의 전교조로 발전되면서 기존 교원단체와 학부모들의 격렬한 반대 여론에 직면해야 했다.

교사가 노동자 등과 연대해 학생을 볼모로 학교를 투쟁의 장으로 변질시킨다는 비난이 그것. 특히 북한 현실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는 전교조의 통일교육론은 보수계층의 정서를 자극해 89년 결성과 동시에 가입교사 1천5백여명이 무더기로 교단에서 쫓겨나는 도화선 역할을 했다.

이에 따라 전교조는 93년 교육부의 '선 (先) 탈퇴 - 후 (後) 복직' 안을 받아들여야 했으며 94년 교원단체로 제도권 안에 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교원단체로의 합법화' 와 '노조 결성' 을 놓고 조직이 양분되는 와해 위기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전교조는 94년 2월 대의원대회를 열어 교원단체로의 합법화에 대한 논의를 표결로 잠재우고 교직원노조로 진로를 재정립했다.

96년부터 정부의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입 추진에 따라 법외단체로 놓여있던 전교조는 전기를 맞게 됐다.

전교조는 현재 1만5천여명의 회원과 후원회원으로 이뤄져 있으며 시.도지부별로 1천여개에 달하는 분회가 조직돼 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