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감 구여권 반응…김현철씨 측 "또… " 착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PCS 등 기간통신사업에 대한 감사원 특감과 관련한 구 (舊) 여권의 반응은 복잡다기하다.

김영삼 (金泳三) 대통령의 최측근들은 金대통령의 차남 현철씨가 한보사태에 이어 또 곤욕을 치를까 걱정한다.

PCS사업자 선정을 전후해 현철씨의 개입의혹이 누차 제기됐고 아직 말끔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기 때문이다.

하지만 '말년' 청와대의 대다수 인사들은 남의 일 보듯 한다.

PCS와는 거의 관련 없는 사람들이 많고, 떠날 날도 멀지 않은 탓이다.

김용태 (金瑢泰) 청와대비서실장은 " (PCS특감과 관련)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고 말했다.

김대중당선자측과 감사원이 하는 일에 청와대가 관여할 수 없을 뿐더러 현철씨 문제와 관련해선 더더욱 말 할 입장이 아니라는 뜻으로 들렸다.

다른 고위관계자들도 "PCS와 청와대는 무관하다.

감사원이 이미 감사를 한 바 있기 때문에 청와대쪽으로 감사방향을 돌리지는 않을 것" 이라고 기대했다.

이들은 "PCS사업자 선정에 이석채 전정통부장관이 관련됐다고 하지만 당시는 그가 청와대로 오기 전인 정통부장관으로 있을 때" 라며 동요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민주계 출신의 한 청와대 관계자는 달랐다.

익명을 요구한 이 사람은 "새 정부가 구여권에 대한 사정 (司正) 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 아니냐. 金대통령은 외환위기 특감과 경제청문회로, 현철씨는 PCS특감으로 상처를 입히겠다는 의도가 있을지도 모른다" 고 경계했다.

현철씨측은 "별 일 없을 것" 이라면서도 안심하진 못하는 기색이다.

현철씨쪽 사정에 밝은 한 청와대 인사는 "현철씨측은 낭설에 신경쓰지 않는 만큼 대응책이란 있을수 없다" 고 말했다.

그는 "이석채 전장관이나 한솔PCS와 유착한 것으로 알려진 김기섭 전안기부운영차장이 현철씨와 가깝다고 해서 현철씨를 배후라고 볼 순 없다" 면서도 "그러나 현정권에 대해 극도로 악화된 여론이 특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할 수 없다" 며 마음을 놓지 못했다.

그 때문인듯 현철씨 측근들은 향후 감사원과 검찰의 움직임에 대비해 입장을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정치보복성 특감이 돼서는 안된다" 며 신 (新) 여권측을 견제하려 하지만 가능한한 이 일에 끼어들지 않으려 한다.

맹형규 (孟亨奎)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의혹이 있다면 규명돼야 하나 객관적 입장에서 특감이 이뤄져야 한다" 고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계를 비롯한 대다수 소속 의원들은 이 문제에 대한 언급을 기피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