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S개입 혐의 이석채 전장관…새정부 첫사정 표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석채 (李錫采) 전 정보통신부장관이 개인휴대통신 (PCS) 사업자 선정의혹과 관련, 새정부의 '사정 (司正) 1호' 대상이 됐다.

인수위와 감사원이 하와이 동서문화연구소에 연구원으로 나가 있는 李전장관의 소환을 검토하는 한편 본격적인 특감에 들어가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주파수 공용통신 (TRS).시티폰 (CT - 2). 무선데이터. 무선호출 등 관련분야로까지 특감대상이 확대됐다.

인수위가 특정사업과 관련자에 대한 특감을 강력히 주문하고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수위의 고위 관계자는 “사업자 선정을 둘러싼 의혹이 있었음에도 지난해 감사원 감사때는 정밀한 감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면서 “그러나 여건과 분위기가 달라진 지금 보완감사가 실시되면 의혹이 해소될 수 있는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 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또다른 관계자는 “감사원 감사로 안되면 검찰이 수사해서라도 국민의 의혹을 씻어줘야 할 것” 이라고 단호한 태도를 보였다.

감사원 보고가 진행되는 동안 회의장은 감사원에 대한 감사 부실을 추궁하는 인수위원들의 고함이 간간이 새나오기도 했다.

“감사원이 복마전이냐” “직무유기다” 는 위원들의 지적과 추궁이 잇따랐다.

결국 감사원은 “3명의 인원으로 부분감사를 했으며 李전장관에 대해서는 감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며 감사미비를 시인, 보완감사로 선회했다.

인수위가 이처럼 강하게 밀어붙이는 데는 나름대로 믿는 구석이 있어서다.

우선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가 이 문제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필요하다면 특감을 요청하라” 고 지시한데 이어 사석에서도 “PCS사업자 선정과정에 국민들이 의혹을 갖고 있다면 반드시 풀어줘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金당선자는 또 PCS의 중복투자문제에 대해서도 자민련의 박태준 총재와 김용환 (金龍煥) 부총재 등에게 자문했다고 한다.

또 李전장관이 정통부장관.청와대 경제수석 등 김영삼 (金泳三) 정부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면서도 경제위기 초래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 있다는 지적도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PCS특감이 金대통령 차남 현철씨나 김기섭 전 안기부운영차장 등 현정권 핵심인사들의 특혜비리 규명으로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인수위 고위 관계자는 “한번 죄과를 치른 사람을 두번 치는 일은 하지 않을 것” 이라고 다소 조심스런 일면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사정의 특성상 일단 시작되면 걷잡을 수 없이 번져가는 측면이 있는 만큼 李전장관의 직권남용 대목이 드러난다면 '적정수준' 에서 그만두기는 어려울 것 같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