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만 남은 노사정 대타협]노동계 한발 후퇴…반대속 현실 인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사정위원회 최종 타결시한인 5일 오후까지도 고용조정 (정리해고) 법제화에 대한 노동계의 거부반응은 외견상 여전하다.

'정리해고 법제화 절대불가' 라는 기존 방침에서 다소 후퇴하긴 했지만 그 요건과 절차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각각 노사정위원회 교섭대표인 박인상 (朴仁相) 위원장과 배석범 (裵錫範) 위원장직무대행에게 협상타결의 전권을 위임한 상태지만 현재의 정부안으로 정리해고 및 근로자파견제도를 입법해서는 안된다는 게 공식 입장이다.

9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앞두고 있는 민주노총 관계자는 "우리측 교섭대표가 대의원들이 수용할 수 없는 합의문을 가져오지는 않을 것" 이라며 보다 많은 선물보따리를 기대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같은 하부조직의 기대가 협상대표들의 '운신의 폭' 을 좁혀 협상타결을 지연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노동계 일각에서는 "결국 대법원 판례 수준의 정리해고제도가 도입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 는 현실론도 상당부분을 구축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정리해고에 대한 규정이 요건을 지나치게 강화해 자칫 해고제한 규정처럼 될 경우 IMF를 비롯한 외국자본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노동계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훈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