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빅딜은 자율' 당론화…비상대책위원회, "기업에 요구한적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민회의가 2일 대기업의 '빅딜 (업종교환) 논란' 에 공식적인 유권해석을 내렸다.

조세형 (趙世衡) 총재대행 주재의 간부회의에서다.

결론은 “빅딜은 대기업의 자율적인 구조조정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사항일 뿐 이를 핵심으로 제시한 바 없다” 는 것. 김민석 (金民錫) 부대변인은 “빅딜과 관련, 해석상의 혼선을 빚고 있다” 고 전제하고 “대기업 구조조정은 자율적으로 성의있게 이뤄져야 할 것” 이라고 회의 결론을 전했다.

비대위의 김대중 당선자측 대표인 김용환 (金龍煥) 자민련부총재도 “비대위가 빅딜계획을 내라고 한 적은 없다” 며 “강제적인 교통정리는 있을 수 없는 일” 이라고 못박았다.

며칠전 김원길 (金元吉) 국민회의정책위의장이 “金당선자 취임전 한두개의 가시적인 빅딜이 있어야 할 것” 이라고 강경조로 얘기한 것에 비해 상당히 약해진 톤이다.

최근 당내에서 제기돼온 '신중론' 을 반영한 듯한 기류 변화다.

마치 대기업 구조조정의 청사진을 미리 그려놓고 인위적으로 끌고가는 듯한 오해를 지우려는 의도 같다.

당안팎에선 어차피 부채비율이 높은 대기업 계열사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여신이 어려워져 경영난을 겪게 돼 자연스런 인수.합병에 이르게 될 것이란 논리가 제기돼 왔다.

굳이 金당선자의 시장경제론을 거스르는 듯한 인상을 줄 필요없이 관계법 개정과 시장 메커니즘에 맡겨 자연스레 빅딜을 유도해도 충분하다는 얘기다.

金당선자측은 그러나 이같은 입장표명으로 24일까지 제출토록한 대기업의 개혁계획이 미지근하게 만들어지지 않을까 우려한 인상도 풍겼다.

지난달 몇몇 그룹의 불충분한 구조조정 계획을 돌려보냈음을 상기시키며 “1월13일 金당선자와 4대그룹 총수들이 합의한 5개항은 변함없는 원칙이며 추호도 흔들림없이 추진될 것” 이라고 강조했다.

빅딜에 대한 안팎의 논란을 차단하면서 '강제성' 이 없음을 분명히 해 공을 대기업에 넘긴 셈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