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금사 2차평가 부실 우려…일정 급하고 기준도 미확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1차 폐쇄조치 이후 살아남은 20개 종금사중 추가 폐쇄대상을 고르기 위한 2차 경영평가일정이 너무 빡빡하게 잡힌데다 평가기준도 확정되지 않아 졸속으로 이뤄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종금사 경영평가위원회는 자산.부채규모를 평가하는 척도인 기준금리 및 기준환율을 아직 제시하지 못해 실사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1일 금융계에 따르면 경평위는 지난주말 오후 20개 종금사 기획담당자들을 불러 2차평가 기준에 대해 설명회를 열기로 했으나 예정된 시각까지 제출서류.평가기준 등을 확정하지 못했다.

이날 경평위원들간에 대체로 합의돼 종금사들에 통보된 평가항목은 ▶원화 및 외화유동성 조달상황▶총여신에서 차지하는 부실채권 비중▶증자계획의 현실성 등이다.

경평위는 그러나 유동성 조달의 경우 정부가 보증을 서주기로 했는데도 정부보증 및 한국은행 자금지원이 없다는 것을 전제로 평가하기로 한데다 부실채권 규모도 은행감독원 기준이 아닌 성업공사 기준 (부실자산 매입률) 을 적용, 측정키로 해 혼선을 빚고 있다.

경평위는 또 종금사들에 7일까지 자산.부채 및 유동성 현황통계를 제출하라고 했으나 자료작성의 기준이 되는 금리.환율은 4일께나 제시키로 했다.

이 때문에 종금사들은 2차 경영평가를 위한 통계자료를 단 3일만에 작성해야 하는데다 그나마 서류양식조차 정해지지 않아 불만을 보이고 있다.

H종금의 임원은 "경평위가 정권이양전에 작업을 마무리하려고 너무 서두르고 있다" 고 말했다.

한편 기업어음 (CP) 의 불법영업과 관련, 경평위는 주주기업이 개입해 돈을 빼돌리기 위한 조직적 범법행위일 경우는 폐쇄조치를 내리되 실무자들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저지른 것이라면 임직원 문책에 그치기로 했다.

경평위의 한 위원은 "불법CP의 경우 어떤 식으로든 경영평가에 반영하겠지만 이것만 가지고 폐쇄결정을 내리지는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남윤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