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청와대 '서프라이즈' 조사 미흡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문화관광부 장.차관의 인사청탁 의혹은 청와대 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6일 국회 문광위에서 관련자들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요구했다. "오지철 전 차관이 서프라이즈 대표였던 서영석씨의 말만 듣고 움직였다는 것은 인사의 기본 상식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서씨가 정동채 장관의 이름을 팔아 청탁했다'는 요지의 청와대 발표를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봐서도 청와대의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더구나 감춰져 있던 사실도 속속 드러났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장이 중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펄펄 뛰면서 결백을 주장하던 서씨가 청와대 발표 이후 돌연 '참여정부에 누를 끼쳐 죄송하다'며 태도를 180도 바꾼 부분도 이상하지만 어쨌든 서씨가 해명과정에서 거짓말로 일관해 왔음도 확인됐다. 그러니 뭐가 또 숨겨져 있는지 국민이 의혹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어찌 보면 이 문제가 이처럼 확대될 사안이냐에 대해서는 견해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문제가 제기돼 청와대가 조사했다면 의문을 남기지 말고 깨끗이 정리했어야 했다. 문제를 제기한 정진수 교수가 5자 대면을 통해 진실을 밝히자고 주장하고 있는데 청와대는 왜 피했는가. 여권이 자신있다면 국회 차원의 조사나 대질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상황을 말끔히 정리하는 방법이다.

특히 새로운 정.언 유착 조짐도 경계해야 한다. 서프라이즈는 그동안 노골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옹호해 왔다. 노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지난해 10월 서프라이즈 창간 1주년을 기념해 기고문을 보내 화제가 됐다. 그러던 서프라이즈는 지난 4.15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 10여명에게 자신들이 제작한 선거홍보용 동영상을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팔아 왔다고 한다. 이런 돈으로 서프라이즈는 인력과 시설 확충을 추진 중이었다고 한다. 자기편 언론은 감싸면서 '정권과 언론의 유착관계 끊기'를 백번 외친들 무슨 설득력이 있으며, 언론개혁을 외칠 자격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