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vs 여의도 … 친이 vs 친박 … 속사정 복잡한 여권 탈출구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단합과 쇄신.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가 재·보선 참패의 수습책으로 제시한 키워드라고 한다. 김효재 대표비서실장은 3일 “그걸 기준으로 다양한 수습책을 마련 중”이라고 전했다. 박 대표가 6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당·청 회동에서 이 같은 수습책을 설명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통령이 박 대표 체제에 힘을 실어줄 수도 있다. 여권 내에선 “지금 박 대표 체제를 흔들면 더한 혼란이 온다”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요구도 만만치 않다. 초선 의원 모임인 ‘민본21’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4일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낼 예정이다. 안경률 사무총장 이하 당직자들이 물러나는 선에서 수습하려는 당 지도부의 구상이 엉클어질 수도 있다. 정치권에선 “여권 내부가 워낙 복잡해 해법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현재 여권 내에서 오가는 수습책은 대략 다음과 같다.

◆“정치대통령이 돼야”=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기조가 달라져야 한다는 주문이 많았다. 이 대통령이 여의도를 멀리한 게 여당을 무력화했다는 판단에서다. 친이 성향의 한 의원은 “(여당엔) 아무도 권위 있는 사람이 없다”고 토로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중앙SUNDAY와의 인터뷰에서 “경제적으로만 성공하는 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최고로 성공하셔야 한다”며 “(대통령이) 왜 정치는 이렇게 비중을 안 두실까”라고 우려했다. 원희룡 의원은 “정치적 문제들을 외면하면 나중에 결정적인 길목에서 정치적인 저항과 반발에 의해 국정의 추진 동력이 떨어지고 고립무원의 상태로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친이·친박도 달라져야”=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가 화해해야 한다는 건 새삼스러운 주문이 아니다. 여전히 “경선 때 앙금과 후유증을 다 털어버리라”(김 지사)는 지적이 나오는 실정이니 말이다. 하지만 여권 내엔 “두 사람의 화해가 실현 가능한 목표냐”는 데 회의적인 사람들이 많다. 수도권 한 초선 의원은 “폭 넓게 사람을 쓰는 과정에서 공감대를 넓혀가야 한다”고 말했다.

친이 또는 친박 진영의 인식과 태도가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홍준표 원내대표는 “친이계냐, 친박계냐 거기 붙어 있으면 다음에 국회의원 한 번 더 할 수 있다는 얄팍한 생각에 자기들끼리 몰려다니고 쑥덕거리는 걸 보면 참 가소롭고 부끄럽다는 생각”이라고 꼬집었다. 친이 진영을 두곤 자체 분열상을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친이계 한 초선 의원은 “주류 내에서도 특정 인맥이 독식 중”이라 고 토로했다. 친박 진영에 대해선 “현안엔 손을 놓고 여당 내 야당에만 머물러 있어선 안 된다”는 주문이 나온다.

고정애·선승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