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당선자측·5대기업 간담…빅딜 '태풍의 눈' 보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측이 본격적인 기업 구조조정 작업에 착수했다.

22일 5대기업 기조실장을 불러 직접 구체적 방향을 전달했다.

내용과 형식이 가위 혁명적이다.

당선자측은 대통령 취임일 전날인 2월24일까지 시간을 못박아 '확실한 개혁안' 을 제출토록 요구했다.

이날 간담회는 金당선자의 정책의지가 빅딜에 모아지고 있음을 분명히한 자리가 됐다.

당선자측 한 경제참모는 "빅딜의 방법은 양자간 사업 교환과 3자거래 형태의 두가지가 있을 수 있다" 며 "어쨌든 국민이 감동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기업논리로만 접근하거나 대응해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간담회에서는 구체적 방법론에 관해서도 깊이있는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수익사업의 매각과 빅딜 추진에 대해 이 참모는 "22일 회동에서는 대기업들이 보안을 우려, 밝히지 않았으나 별도의 채널을 통해 이미 '상당히 진척된 계획안' 을 제시한바 있다" 고 전했다.

당선자측은 결실을 빨리 맺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환방식의 빅딜에 주목하고 있다.

절차적 복잡성과 이해관계가 얽혀 간단치 않다는 관측에도 불구하고 당선자측은 2월까지 대기업들의 빅딜 선언과 협상개시가 여러 건 있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충분한 배려를 하겠다는 약속도 하고 있다.

기조실장들이 "구조조정 복안을 가지고 있지만 공개적으로 밝히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며 세제.금융지원을 촉구하자 임창열 (林昌烈) 경제부총리는 "구체적 방안을 수집해 조치하겠다" 고 확실하게 약속했다.

사후 부작용 등을 우려해 "전경련과 인수.합병 전문회사들에 중개를 맡기고 정부는 구체적 사업조정에 끼어들지 않겠다" 는 입장도 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22일 회동은 金당선자의 '기업 자율에만 맡겨보니 지지부진하다' 는 판단이 배경이 됐다.

'대기업 회장단과의 오찬→기업 자율의 구조조정안에 대한 혹평→언론을 통한 업종 전문화.빅딜 촉구' 등 그동안 밟아온 3단계 행보가 만족할 만큼 먹혀들지 않는다는 생각이다.

현대와 LG의 자율적 구조조정 계획을 접한 金당선자는 한숨만 쉬었다고 한다.

해당 기업에도 이런저런 경로로 당선자측의 'D학점' 평가가 전달됐다.

결국 한 그룹은 상황파악을 못했다는 내부 판단아래 관련 실무책임자를 경질키로 했다는 후문이다.

22일 회동은 金당선자측이 5대그룹에 대한 입장을 최후통첩한 자리로 이해되며 각 그룹들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한 것으로 보여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