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귀향자 유치 경쟁…정착금 지원·빈집 제공등 다양한 혜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IMF 한파 이후 지자체마다 도시 직장인들의 귀향 문의가 급격히 늘고 있으며 지자체들도 이들의 정착지원 방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농림부는 19일 지난해 7월 농림부가 귀농자 안내용으로 개설한 인터넷 홈페이지 접속 횟수가 지난해 8월중 2백97건에서 12월에는 3백96건으로 늘어났으며 이달에도 이미 1백90여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또 경북도가 지난해 10월 경북구미시옥성면일대에 조성중인 화훼단지내 온실 분양.임대공고에는 귀농희망 문의가 2개월만에 1천1백여건에 이르렀다.

전남도가 3월부터 실시하는 귀농자 사전교육과정 역시 공고가 나가자마자 정원 60명이 마감됐으며 축산농가와 연결해 3~6개월간 진행되는 현장실습도 현재 47명이나 신청했다.

이에 따라 지난 연말부터 귀농자 실태조사에 들어간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최근 잇따라 다양한 유치방안을 내놓고 있다.

전남의 경우 올해 농어촌진흥기금 1백20억원중 20억원을 귀농자들의 몫으로 할애해 개인 최고 3천만원.법인 2억원까지 빌려주기로 했으며 전북은 농촌 빈집을 귀농자 거주지로 제공하고 가구당 최고 1천여만원의 주택수리비를 융자해 주기로 결정했다.

경남은 귀농 정착금 5천만원의 저리융자와 재산세 면제 등의 혜택을 주기로 했으며 강원.충북.경북 등은 일선 농촌지도소에 '귀농인 상담실' 과 '농촌 빈집 정보센터' 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농림부 관계자는 "도시민들이 '농사나 짓지' 하는 안이한 생각으로 귀농할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다" 고 충고했다.

전국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